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대체신학 이슈와 초림 예수 즉위 연구-1회

◙ Photo&Img©ucdigiN

A Study of the Issue of Replacement Theology & the Enthronement of the First Coming Jesus 1)

 

목 차

  1. 들어가는 말: 대체신학 이슈
  2. 유다왕국에 대한 예언과 그 성취
  3. 초림 예수의 세 번에 걸친 즉위식
  4. 나가는 말

논문 요약

세대주의 신학에 따르면, 예수께서 재림하시기 전까지는 메시아 왕국의 왕이 아니고, 왕 후보자이다. 그냥, 왕이라 일컬어지는 셈이다. 세대주의 신학은 곧 “재림 예수의 즉위론”이기도 하다. 세대주의자들은 “초림 예수의 즉위론”에 기초를 둔 개혁신학을 ‘대체’ 신학이라고 비판한다. 성경 예언 성 취의 주인공은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의 혈통적 후손들인 이스라엘인데,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보혈로 구속받은 교회 공동체로 대체한다는 것이다.

개혁신학은 ‘대체’ 신학이 아니라 ‘실체’ 신학이며 ‘성취’ 신학이라는 것 을 입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초림 예수의 즉위론”이 옳다는 것을 논증하려고 한다. 초림 예수의 즉위식은 하늘로부터 각각 세 번에 걸쳐 소리가 울리는 가운데 거행되었다. 즉, 예수께서 ① 세례를 받으 실 때, ② 변화산에서 변화되셨을 때, ③ 베다니에서 “호산나… 이스라엘의 왕이시여”라고 찬송을 받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후, 하늘에서 소리가 각각 울리었다. 성부 하나님께서 친히 성자 예수의 즉위식을 세 번에 걸쳐 거행 하셨다. 특히, 예수께서는 세 번째 하늘의 소리를 사탄의 폐위와 그 자신의 즉위로 친히 해석하셨다(요 12:31). 초림 예수의 즉위로 메시아 왕국이 이미 출범되었다는 뜻이다.

한편, 다윗의 세 번에 걸친 즉위식은 초림 예수의 세 번에 걸친 즉위식을 위한 그림자가 되고 예표가 되었다. 그리고 다윗 언약에 기초한 즉위 시 와 다니엘이 환상 가운데 본 “인자 같은 이”의 즉위식은 각각 예언적 말씀 으로 초림 예수의 즉위로 모두 다 성취되었다. 이는 곧 구약과 신약은 서로가 유기적 관계이며, 구약의 이스라엘은 예표나 그림자, 그리고 예언이며, 신약의 예수와 그의 교회 공동체는 그 실체와 성취 관계라는 뜻이다. 따라 서 개혁신학은 ‘대체신학’이 아니라 ‘실체’ 신학이며 ‘성취’ 신학이다.

*주제어: 대체신학, 다윗의 즉위, “인자 같은 이”의 즉위, 예수의 즉위,

*Key words: Replacement Theology, David’s Enthronement, “One like a Son of Man”’s Enthronement, Jesus’ Enthronement,

1. 들어가는 말
메시아닉 쥬의 지도자 키이스 인터레이터(Keith Interator)는 그의 책 『그날이 속히 오리다』에서 이렇게 주장한다.

이제 주님께서 다시 오실 때 그분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장소로 오실 것이다. 국민과 영토가 있는 실제적인 나라로 오실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스라엘의 회복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스라엘에 있는 유대인들이 주님을 영접할 준비가 필요하다. 만일 유대인들이 이스라 엘 땅에 있지 않다면 주님을 영접할 수 없다(마 23:39). 그러므로 이 스라엘에 영적인 나라가 회복되기 전에 먼저 육적인 이스라엘이 다시 서야 한다.2)

부활하신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을 데리고 예루살렘 감람산 동편 기슭 베다니 마을 앞까지 나가신 후에 그들을 축복하시고 승천하셨다(눅24:51). 인트레이터의 주장에 따르면, 예수의 승천 장소는 곧 그의 재림 장소가 될 터인데, 베다니 마을의 아랍인들이 유대인들로 대체되어야만 예수께서 재림하실 수 있다는 주장이 내포되어 있다.3) 그런데, 예수의 재 림 지점이 감람산이 아니라 에돔 왕국의 수도 보스라(사 34:1-8; 63:1-4; 참조, 계 19:11-16)가 위치한 요르단 남부라고 주장하는 자가 있다. 그는 곧 본부가 미국 캔사스시티에 위치한 국제 기도의 집(International House of Prayer: IHOP) 대표 마이클 비클이다.4) 그에 따르면, 그곳에 재림하신 예수께서 보스라에 위치한 이방 군대를 물리친 후, 백마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다.

초림 예수께서 감람산 동편 기슭 마을 베다니를 출발하여 옆 마을 벳바게에 준비된 나귀 새끼를 타고 감람산을 넘어 예루살렘에 입성하셨다. 그런데, 비클은 재림 예수께서 모세가 홍해를 가르듯 감람산을 쪼개시고(슥 14:4), 이방 군대에 포위되어 있던 예루살렘의 이스라엘 군대를 감람산에 생긴 골짜기를 통해 구출하신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유대인들의 대표들인 이스라엘 정부 지도자들이 주관하는 재림 예수님의 대관(등극 또는 즉위)식이 아래와 같이 개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대관식에서 이스라엘 정부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그들의 구세주 왕으로 공식 선언하며 예루살렘의 문들을 예수님을 향해 열 것이다. 예수님이 아마겟돈 캠페인에서 전쟁 상황을 순식간에 역전하시기 때문에 그들은 예수님을 “강하고 능한 여호와, 전쟁에 능한 여호와, 만군(하나님의 군대)의 여호와, 영광의 왕”이라고 부를 것이다.5)

인트레이터와 비클의 주장은 둘 다 “재림 예수의 즉위론”에 기초한다. 이 즉위론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건국(1948년)과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탈 환(1967)은 성경 예언의 성취적 사건이다. 또한, 이스라엘이 회복되기 전에, 또는 예수께서 재림하시기 전에, 성취되어야 하는 성경 예언의 말씀이 두 개가 더 있다. 예루살렘의 성전 재건과 유대인들의 고토 귀한, 즉 “알리야”(ָּיה ִל עֲ Aliyah)이다. 미국 대사관을 필두로 몇몇 대사관이 예루살렘으로 이전한 것이 곧 그 성취의 때가 도래하고 있다는 징조들로 해석된다. 미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도록 했던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이 시대의 정치적인 ‘고레스’라 여겨진다. 한편, 마이크 비클 은 자신을 영적인 ‘고레스’라고 자처한다. 고레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으 로 예루살렘성전 재건을 가능케 하였던 인물이었다. 또한, 현재 유대인들 의 고토 귀환 작전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재림 예수의 즉위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그의 교회 공동체를 혈과 육의 차원으로 하락시키고 세계 평화를 진작시키기보다 오히려 분쟁 을 심화시킨다.6) 또한, 이 즉위론에 따르면, 예수께서는 재림하시기 전까지 메시아 왕국의 왕이 아니고, 왕 후보자이다. 편의상 또는 예의상, 그는 그냥 왕이라고 일컬어지는 셈이다. 또한, 이스라엘의 회복도 아직 시작되 지 않았다. 회복될 이스라엘은 곧 아브라함의 손자 야곱의 혈통적 후손들이다. 그 회복은 재림 예수의 즉위로 출범하는 왕국에서 이루어진다. 그 왕국의 수도는 예루살렘이고, 국경은 구약에 언급된 가나안 땅으로 국한된다. 그 왕국이 곧 요한계시록 20장에 나타난 천년왕국이다. ‘재림 예수 의 즉위론’은 세대주의 전천년설이라고도 한다.

한편, ‘초림 예수의 즉위론’에 따르면, 메시아 예수께서 공생애를 마치 고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심으로 메시아 왕국의 왕이 이미 되셨다. 따라서, 메시아 왕국은 곧 예수의 공생애 사역의 결과로 이미 출범되었다. 십자가에 달려 죽임을 당하셨던 예수께서 부활하시고 승천하셔서 하나님 보좌 우편에 좌정하신 후 성령으로 그 왕국을 다스리고 계시기 때문이다. 그 왕국의 국경은 땅끝이며, 백성은 곧 그의 보혈로 구속받은 교회 공동 체이다. 또한, 이는 그들이 곧 회복되는 이스라엘이며, 그 회복의 대상은 야곱의 혈통적 후손들만이 아니라 모든 아담의 후손들이라는 뜻이다. 이와 같은 메시아 왕국이 곧 요한계시록 20장의 천년왕국이다. 다시 말해서, 이 왕국은 예수의 초림으로 시작되었고 그의 재림으로 완성된다. 또한, 그의 재림 때 그의 교회 공동체는 회복된 에덴으로 새 예루살렘이라 일컬어진다.

한편, 그 공동체에 속하지 못한 불신자들은 큰 음녀 바벨론이 되어 심판받는다.7) 재림 예수께서 그렇게 완성된 나라를 아버지 하나님께 바친다(고전 15:24-28). 이 ‘초림 예수의 즉위론’은 ‘무천년설’, ‘실현된 천년설’ 또는, ‘현 천년설’이라고 일컬어진다. 천년의 ‘천’은 긴 기간을 의미하는 상징 수이다.

그런데, 세대주의 신학자들은 개혁신학을 ‘대체’신학이라고 비판한다.8) 그들에 의하면, 성경 예언 성취의 주인공은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의 혈통적 후손들인 이스라엘인데, 그 주인공인 이스라엘이 교회 공동체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굴러들어온 돌이 박힌 돌을 뺀다’는 식의 주장이다. 즉, 교회 공동체는 굴러들어온 돌이며, 이스라엘은 박힌 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교회 공동체는 이스라엘을 그 주인공으로 속 히 다시 모셔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체신학을 최초로 정립한 신학 자는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틴의 도움을 받은 어거스틴이라는 것이 다. 이는 곧 개혁자들이 종교 개혁을 이루었지만, 대체신학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는 뜻이 된다. 안식일과 구약의 절기들로 대표는 토라의 회복까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자들도 있다. 최근에는 사도의 회복까지 거론하며 이른바 신사도 운동까지 전개하는 자들도 있다.

휫튼 대학의 명예 교수인 길버트 빌레지키안(Gilbert Bilezikian)은 개혁신학을 대체신학이라 비판하는 세대주의 신학에 대해 “구약 성경 을 신약성경 위에 놓고 이스라엘을 그리스도의 신부로 만들고자 교회 를 단지 후궁(concubine)의 자리로 좌천시키는 유사 신학”이라고 비 판한다.9) 세대주의 신학의 관점에서의 예수 그리스도는 아내와 첩을 거느리며 두 집 살림 중인 어떤 남자와 엇비슷하다는 것이다.

사실, 개혁신학은 ‘대체’ 신학이 아니라 ① ‘접붙임’의 신학이며, ②‘실체’ 신학이며, ③ ‘성취’ 신학이다. 먼저, 개혁신학이 대체신학이 아니 라, ‘접붙임’의 개념 또는 ‘접붙임’의 신학이라는 점에 대해 논의하여 보자. 교회 공동체와 이스라엘은 굴러들어온 돌(교회 공동체)과 그 돌에 의해 박혔다가 빼내진 돌(이스라엘)의 개념으로 이해되면 결코 아니 된 다. 오히려 이는 접붙임의 원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체신학이 아니라, “접붙임의 신학”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필자의 논문 “교회 공동체로서 온 이스라엘(롬 11:26)에 대한 이해”에서 자세히 밝혀졌다.10) 그 논문에서 소개된 브라이언 워너(Brian Warner)의 주장을 여기에 소개한다.

대체신학과 같은 것은 없다. 이방인들이 이스라엘에게 접붙여져 있다. 그래서 이제는 이방인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함께 누리고 있다.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한다는 개념을 선전하는 것은 교회의 분열을 조장하는 일이다. 세대주의자들은 개혁/언약신학자들을 경멸하려는 목적으로 대체신학이라는 용어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른 기독교인들을 반유태주의자들로 그리기 위하여 이와 같은 계획을 활용하는 것은 공평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단되어야 한다.11)

본 논문의 목표는 개혁신학은 ‘대체신학’이 아니라 ‘실체’ 신학이며, ‘성취’ 신학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림 예수의 즉위론이 옳다는 논증을 두 개의 장(Chapter), 즉, ‘유다왕국 설립에 대한 예언과 그 성취’ 그리고, ‘초림 예수의 세 번에 걸친 즉위식’으로 나누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각주

  1. 본 논문은 필자의 풀러신학교 논문(D. ), 『이슬람과 메시아 왕국 이슈』, (서울: CLC, 2009)와 “기독교 시온주의의 대체신학 이슈”, KMQ 9호 2014년 봄호를 토 대로 확대 연구되었다.
  2. Keith Intrater, 『그날이 속히 오리다』, KIBI 역. (서울: 두란노, 2004),
  3. 위의 책, 19.
  4. http://www.mikebickle.org.edgesuite.net/MikeBickleVOD/2011/20110219 A_ Jesus_Second_Coming_Royal_Procession_KET13.pdf. 비클은 세대주의 적 전 천년론의 환란 전 휴거설을 비판하며, 역사적 전천년주의자라고 자처한다. 그 런데, 그의 재림 예수의 즉위론은 세대주의의 것과 다를 바가 없다.
  5. 위의 책, 179.
  6. Christopher Wright『현대를 위한 구약 윤리』, 김재영 역, (서울: IVP, 2006), 666-670. “가나안 족속은 어떻게 되는가?… ‘하나님은 언제나 이스라엘을 위하시고, 다른 모든 민족을 심판만을 받게 되어 있다’라는 말은 구약성경에 대한 왜곡에 불과하다.” 
  7.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공동체가 곧 회복되는, 또는, 회복된 이스라엘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역사적 전천년론과 현 천년론이 같다.
  8. Craig Blaising, “The Future of Israel as a Theological Question,”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44:3 (2001): 435.
  9. Steven Sizer, 『시온의 크리스천 군사들』. 김정환 역. (서울: CLC, 2013),
  10. 정형남, “교회 공동체로서 온 이스라엘(롬 11:26)에 대한 이해”, ACTS 중동연구 제4권. 2020.171-177.
  11. www.replacementtheology.org.    Brian    D.    Warner는   미국 Fair Community 침례교회 담임목사이다. http://www.fairportcommunity.org.

<2회 계속>

글 정형남 교수/ 아시아연합신학대학교(ACTS) 선교대학원 교수 및 GMS 아랍권 선교사(천안장로교회 파송. since 1989). 그의 책으로 『이슬람과 메시아 왕국』CLC, 2009)과 아랍권 및 이슬람권 선교와 관련된 여러 <논문>이 있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학술저널
정형남: GMS 아랍권 선교사 (현재 이집트 거주), 전 ACTS 선교대학원 교수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