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공부는 살아가는 것 그 자체입니다
▷공부는 살아가는 것 그 자체입니다.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세계는 내가 살아가는 터전이고 나 또한 세계 속의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란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공부입니다. 자연, 사회, 역사를 알아야 하고 나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공부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는 것입니다. 세계 인식과 자기 성찰이 공부입니다.(1부) ▷지식인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품성을 한 가지만 말하라고 한다면 단연 ‘양심적인 사람’입니다. 양심은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인간학일 뿐 아니라 그 시대와 그 사회를 아울러 포용하는 세계관이기 때문입니다. 양심은 관계를 조직하는 장(場)입니다.(2부) – [책 내용 중에서]
[북스저널=정이신 목사]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 신영복 지음, 출판사: 돌베개 » 책의 부제에 달려 있듯이 저자가 했던 강의를 녹취해서 책으로 펴낸 것입니다. 그래서 [1부(고전에서 읽는 세계 인식)]와 [2부(인간 이해와 자기 성찰)]의 주제가 다릅니다. [1부]에는 동양고전에 대한 저자의 독법(讀法)이 나오고, [2부]에는 그가 접했던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얻은 사유가 나옵니다.
고인이 된 저자의 책을 읽게 된 건 과외 강사를 할 때 고등학교 국어책에 실린 그의 글을 읽으면서였습니다. 국어책에 실린 그가 쓴 글을 보고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사서 읽었습니다. 잔잔하게 다가왔던 그가 쓴 글의 감동이 지금도 제 마음에 남아 있습니다.
지금도 선연히 기억하는 대목은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서 자기 부모님께 이제는 걱정해야 하는 자식으로 자기를 대하지 말고, 같이 한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인으로 대해줬으면 좋겠다고 한 것입니다. 자식으로만 자기를 보니 교도소에서 무기수로 있는 자신을 늘 걱정의 대상으로만 여기고 염려하는데, 이제는 한 명의 사회인으로 보고 좀 더 먼 거리에서 자신이 살아가는 모습을 지켜봐 달라고 했습니다. 교도소에 있으면서도 부모님에 대해 배려하는 저자의 잔잔한 효심을 깔끔한 필치로 적은 글을 보고, 찬탄을 형용할 길이 없었습니다.
[1부]에서 ‘필자는 죽고 독자는 꾸준히 탄생하기에 텍스트를 새롭게 읽어야 한다’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이를 뒷받침하듯 그는 자신의 관점으로 동양고전을 읽습니다. 예를 들어 ‘싸움의 승패는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하고 옳은 사람이 반드시 이기는 게 아니다’라는 독법에 따라, 그는 동양고전을 인간관계에 관한 이야기 중심으로 읽습니다. 그의 독법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자신의 독법을 갖고 있지 못한 것이라는 반증일 수도 있습니다. 그의 말처럼 우리도 고전에 대한 자신만의 독법이 있어야 합니다. 내 독법을 그의 독법과 견주며 더 아름다운 길을 그의 어깨 위에 서서 만들어 가야 합니다.
[2부]에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 수록된 글 몇 개에 얽힌 이야기가 자세히 나옵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대부분 엽서에 썼던 글이고, 검열이 있었기에 거기에 쓰지 못했던 구체적인 이야기들도 이 책에 나옵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었던 이들에게 ‘아, 그 이야기의 뒷면에 이런 게 있었어!’라는 반응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키예프 공원에 있던 전승기념탑이 여자 동상이라는 대목에서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는 노벨문학상 작품이 생각났습니다. 이 소설을 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도 우크라이나 사람입니다. 전쟁의 승리를 어머니가 아들이 죽지 않고 집으로 돌아온 것으로 해석해 여자 동상을 세운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마음이 그녀에게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쓰게 한 영감의 원천은 아니었을까요?
‘인식(認識)은 그게 어떤 것에 관한 것이든 가장 밑바탕에 사람이 있어야 한다’라는 저자의 말을 곱씹어 봅니다. 사람과의 관계가 인식의 근본인데, 금융자본의 논리에 밀려 때로 사람을 배제한 채 사물을 바라보고 있는 게 탐욕스러운 우리의 모습 아닌가요? 단순하지 않게 인간의 내면에 자리를 잡은 희로애락과 오욕칠정 중에 덜 중요한 건 하나도 없습니다. 인간적인 공감을 바탕으로 사회에서의 관계를 만들고 싶은 분은 [2부]를 집중해서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글 정이신 목사/ 본지 칼럼니스트/ 아나돗공동체 위임목사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