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다시, 책은 도끼다

박웅현 인문학 강독회… 책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시선이 들어오기 때문

인생을 살면서 꼭 들어봄 직한 이야기가 머릿속에 있는 사람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자신의 생각을 가장 명료하게 정리한 게 책이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 그 사람을 만나는 거다. 좋은 사람을 만나는 거다. <중략> 책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시선이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그전까지는 그렇게 보지 않았는데 어떤 책을 읽고 나면 그렇게 보게 되는 거죠. 그 시선의 변화가 제일 중요합니다. 그 변화가 나를 풍요롭게 만들어 줍니다. 이와 같은 시선을 확장시키는 의미의 책 읽기에 대한 이야기가《독서에 관하여》에 계속 나옵니다. – [책 내용 중에서]
◙ Photo&Img©ucdigiN

[북스저널=정이신목사] 다시, 책은 도끼다 » 박웅현 지음, 출판사: 북하우스 » 인생을 살면서 꼭 들어봄 직한 이야기가 머릿속에 있는 사람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자신의 생각을 가장 명료하게 정리한 게 책이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 그 사람을 만나는 거다. 좋은 사람을 만나는 거다. <중략> 책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시선이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그전까지는 그렇게 보지 않았는데 어떤 책을 읽고 나면 그렇게 보게 되는 거죠. 그 시선의 변화가 제일 중요합니다. 그 변화가 나를 풍요롭게 만들어 줍니다. 이와 같은 시선을 확장시키는 의미의 책 읽기에 대한 이야기가《독서에 관하여》에 계속 나옵니다. – [책 내용 중에서]

박사학위를 여섯 개 가진 사람이 자신이 그렇게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를 이렇게 말했습니다. “공부를 해 보니 다른 사람의 해석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그래서 ‘저 사람은 이걸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가 궁금해서 더 공부하게 됐다. 그러다 보니 박사학위를 여섯 개나 취득하게 됐다. 그러나 공부가 늘 즐거웠던 건 아니다. 다만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늘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탑을 쌓아야 했는데, 이 과정이 흥미로웠다. 새로운 위치에서 탑을 쌓기 위해 기존에 내가 공부했던 것과 다른 시각에서 나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박웅현의 책을 예전에 몇 권 읽었습니다. 그러면서 박사학위를 여섯 개 취득한 사람과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제가 읽었던 책인데, 저자는 저와 다르게 그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저와 다른 글을 남겼습니다. 그래서 알게 됐습니다. ‘책을 읽는다는 건 나만의 해석을 만드는 게 아니라, 내가 붙잡고 있는 아집(我執)을 해체하는 일’이라는 걸요. 저자는 책에서 ‘나만의 해석을 만드는 게 독서’라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나만의 해석을 만드는 일’이나, ‘나의 아집을 해체하는 일’이 서로 같은 것입니다.

저자는 ‘나이가 한 살 더 든다는 건, 봄을 한 번 더 본다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봄을 한 번 더 본다는 게 우리에게 아주 귀한 뉴스라고 제게 알려준 이는 이어령 선생님입니다. 선생님께 들었던 그 말씀이 저자를 통해 새롭게 들렸습니다. 봄을 한 번 더 본다는 게 아름다운 일인데, 그걸 늘 놓친 채 인터넷을 점령한 온갖 사회적 이슈에 묻혀 지내고 있는 제 모습을 이 책을 통해 봤습니다.

저자의 말처럼 꼭꼭 찍어 읽기, 학(學)의 자세가 아니라 습(習)의 자세에서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저자가 쓴 다른 책을 통해 알게 됐습니다. 주어진 삶의 길에 피어있는 꽃 한 송이와 같이 놀면서, 해마다 보고 있는 봄을 더 풍요롭게 바라보기 위해 책을 읽는 사람이라면, 저자가 말한 자세로 책을 읽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많이 읽는 게 필요한 때도 있지만, 저자의 말처럼 제대로 읽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밀란 쿤데라가 쓴 소설에 있는 비극(悲劇)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면서, 우리 삶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패배를 이해하자고 합니다. 삶이 직선으로 나아가면서 늘 이기는 걸 궤적으로 남기지 않습니다. 의외로 많은 시간에서 우리는 패배를 경험합니다. 그럼 그 패배는 우리 삶에 전혀 필요 없는 군더더기일까요? 아닐 것입니다. 저자는 소설을 통해 이런 면을 익히자고 합니다.

과학기술의 역사에서 뭔가가 발명되면 그 전과 후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하나의 발명은 새로운 도구의 탄생에 그치지 않고 다른 발전을 낳습니다. 예를 들어 에디슨이 만든 전구가 오늘날의 광학적 장치들을 발명할 수 있는 토대가 됐습니다. 이 책을 읽는 게 이와 비슷합니다. 저자가 남긴 메모와 강독한 책들에 관한 독법(讀法)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누군가의 어깨 위에 서 있는 자신을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입니다. 이 책에서 소개한 책들을 자신의 방법으로 읽은 이는 저자고, 우리는 그의 시선을 따라 그 틈새를 본 것입니다. ‘부러우면 지는 것’이라고 했는데, 부러워지기 전에 저자처럼 우리도 ‘나만의 독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혹 나만의 독법을 가진 분은 이 책을 여러분만의 독법으로 읽어보십시오.

저자의 독서 방식을 보면서 배우고 싶은 건 그의 메모 습관입니다. 저자는 늘 메모와 더불어 책을 읽습니다. 그리고 그게 다른 작품을 만들어내는 밑천이 됩니다. 여러분이 이 책을 읽다가 마음에 울림이 있는 글이 나오면, 잠시 읽기를 멈추고 그 글을 다른 곳에 옮겨보십시오. 책에 있는 문장 그대로 옮겨도 좋고, 여러분의 시선으로 바꿔서 옮겨도 좋습니다. 그리고 그런 노트를 몇 권 가지고 있다가, 생각이 날 때마다 펼쳐보십시오. 거기에는 분명히, 신세계가 펼쳐져 있을 것입니다. 

정이신 목사/ 본지 칼럼니스트/ 아나돗공동체교회 위임목사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북스저널
정이신(以信): ▪본지 북스저널 전문칼럼니스트 ▪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 ▪백석대 신학대학원 졸업 ▪아나돗학교 대표간사 ▪아나돗공동체 위임목사 ▪본지 , 연재하고 있습니다.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