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12. 부활과 인과응보

정이신칼럼◙ Photo&Img©ucdigiN

인간이 하나님을 만나야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살아나…

<1:7>에서 <잠언> 기자는 하나님을 아는 게 지식의 근본이라고 하지 않았고 “경외(히브리어: 이르아)하는” 게 근본이라고 했습니다. 히브리어로 이 단어는 ‘두려움ㆍ공포’란 뜻이 있는데, 이는 인간이 하나님을 바로 알게 됐을 때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잠언>의 이 표현은 하나님이 직접 모세에게 말씀하신 것에 근거를 뒀습니다…

[정이신 칼럼] 12. 부활과 인과응보 »  태어날 때부터 눈이 멀었던 사람을 보고 제자들은 이게 어떻게 된 일이냐고 예수님께 물었습니다(요한복음 9:1∼3). 예수님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시기 위해 주님이 그 사람을 그렇게 태어나게 하셨다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라고 하지만, 태어날 때부터 예수님을 만나기까지 눈먼 상태로 살아야 했던 그 사람의 고통을 우리가 얼마나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그의 눈먼 고통이 예수님을 만나 모조리 치유됐다는 것만 압니다. 그 사람은 예수님의 말씀대로 실로암으로 가서 눈을 씻은 후 눈이 밝아졌을 뿐 아니라, 바리새파 사람들의 반대를 이겨내고 그분을 자신의 구세주로 영접했습니다(요한복음 9:38).

이는 인과응보의 시각으로 도무지 해석할 수 없고, 오직 부활의 시각으로만 해석할 수 있는 사건입니다. 우리 삶에 이런 영역이 인과응보와 같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영역은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으로만 풀어 갈 수 있습니다.

복음이 보여준 부활의 영역은 믿음으로 풀어 갈 수 있는데, <잠언>은 믿음을 주신 성령님의 은혜와 더불어 좋은 활력소를 크리스천에게 제공합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하나님을 경외할 줄 압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삶이지만, 그 안에 성령님이 인도하시는 거룩함으로 채워지는 부분이 있다는 걸 알고, 그걸 소중하게 여깁니다. 지혜롭지 못한 사람은 자기 삶에 있는 하나님의 영역을 무시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신은 자유롭게 살게 됐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자유와 전혀 상관이 없이 억압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그는 자유롭다고 착각합니다.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채워야 하는 영역이 있기에 반드시 창조주를 알고 믿어야 합니다.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하나님을 알고 믿는 건 인간이 수행해야 할 창조목적 중 하나입니다. 이걸 거부하면 모든 걸 혼자서 책임지며 살아야 합니다.

<1:7>에서 <잠언> 기자는 하나님을 아는 게 지식의 근본이라고 하지 않았고 “경외(히브리어: 이르아)하는” 게 근본이라고 했습니다. 히브리어로 이 단어는 ‘두려움ㆍ공포’란 뜻이 있는데, 이는 인간이 하나님을 바로 알게 됐을 때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잠언>의 이 표현은 하나님이 직접 모세에게 말씀하신 것에 근거를 뒀습니다.

시내산에서 하나님은 주님을 보려고 찾아온 사람은 물론이고, 평소에 주님을 모시는 제사장일지라도 성결하지 않으면 주님 앞에 나오지 말라고 하셨습니다(출애굽기 19:21∼22). 그래서 <새번역성경>은 ‘공경하면서 두려워하다’란 뜻을 가진 “경외(敬畏)”로 이 히브리어를 번역했습니다.

호랑이를 그림으로 보는 것과 동물원에서 보는 것, 시베리아와 같은 야생에서 보는 게 다릅니다. 이처럼 사람이 하나님을 바로 알게 됐을 때 그는 전율하게 됩니다. 그동안 그림책에서만 하나님을 봐 왔는데, 심판대 앞에서 주님을 뵙게 됐을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하나님이 나를 죽이시기도 살리시기도 하시는 분이라는 걸 알게 됐을 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하나님 앞에서 주님의 심판을 피해 도망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래서 심판대에 계신 하나님을 뵙게 되면 내가 그동안 허상으로 믿고 의지했던 모든 게 깡그리 무너져 버립니다. 이런 상태를 종합한 게 “경외”입니다.

<1:7>은 하나님의 말씀이 일차적으로 인간에게 주님을 만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걸 알려줍니다. 이게 하나님이 인간에게 말씀하시는 이유입니다. 성육신(成肉身)도 마찬가지입니다(요한복음 1:14). 하나님이 인간을 만나 어떻게 해야 구원받을 수 있는지 직접 모범을 보여주신 게 예수님의 자기비하 사건입니다(빌립보서 2:6∼8).

인간이 하나님을 만나야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살아납니다(고린도후서 5:17).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이 만남을 멸시합니다. 미련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상태를 생각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이 자기들에게 아무것도 하지 못하도록 잔소리를 한다고 억지 주장을 폅니다. 저들은 내 안에는 많은 육체적 야망이 있고, 이 세상에서 출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도 하나님의 말씀이 그걸 가로막는다고 주장합니다.

문제는 이런 야망의 출발점입니다. 知彼知己百戰不殆(지피지기백전불태)라고 했습니다. 아무리 야망을 많이 갖고 있어도, 자신이 누구인지 모른 채 출발하면 100전 100패입니다. 또 모든 인간의 출발점이 하나님이라는 걸 모르면 인간이 아무리 높이 탑을 쌓아도 모래 위에 쌓은 것일 뿐입니다. 모래 위에 쌓았기에 결국 무너집니다.

저는 <잠언>에서 다윗을 그리워하고 있는 솔로몬의 모습을 봅니다. 다윗의 아들은 솔로몬입니다. 솔로몬은 다윗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솔로몬의 영향을 받은 그의 아들 르호보암은 어딘지 모르게 이상합니다. <열왕기상 12장>을 보면 르호보암이 그의 아버지 솔로몬으로부터 뭘 배운 것인지 도무지 알기 힘든 행동을 했습니다.

이런 아들에 대한 염려를 담고 있는 글이 <1:8>인 것 같습니다. <1:8>에서 “아이들아(히브리어: 벤)”라는 호칭을 두고 <새번역성경>은 ‘스승이 제자를 부르는 말’이라고 각주를 달았습니다. 이는 <잠언>을 성경 기자가 일반화시켜 기록한 것이라고 본 해석입니다.

그런데 <잠언>에는 솔로몬이 그의 아들들에게 했던 교훈도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잠언>의 1차 청자는 솔로몬의 아들들입니다. 따라서 <1:8>은 솔로몬이 그의 아들들에게 자신이 한 이 말을 꼭 명심하라고 했던 뜻도 있습니다.

정이신 목사/ 본지 칼럼니스트/ 아나돗 공동체 위임목사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교육저널
정이신(以信): ▪본지 북스저널 전문칼럼니스트 ▪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 ▪백석대 신학대학원 졸업 ▪아나돗학교 대표간사 ▪아나돗공동체 위임목사 ▪본지 , 연재하고 있습니다.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