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5회>  »

7. 당 말기 景敎의 실크로드 선교사역(Silk Road ministry of Jing-Jiao in the latter half of Tang Dynasty)

오랜 시간 동안에 正史 기록물이 부족했기 때문인지, 대체로 많은 학자들이 무종이 실시한 “회창멸불” 이후에 景敎徒가 중국에서 사라졌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물론 “회창멸불” 때문에 景敎가 큰 충격을 받았고, 심지어 중원지역에서 사라지는 것 같았지만, 실크로드에 있는 서북 변방지역에서 景敎는 여전히 지속적인 발전을 해왔다. 게다가 元나라 때 다시 유입된 에르케운(也里可温)교도 어느 정도로 景敎가 중국에서 발전했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무종의 멸불정책 이후에도, 景敎가 서역에서 선교를 지속할 수 있었던 원인은 아래와 같다:

우선, 서역은 줄곧 景敎 전파의 중심이었다. 방호(方豪)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景敎는 “정관 9년 전에, 알로펜과 기타 주교 일행이 장안에 진입하기 전에 景敎徒는 이미 중국의 감숙, 신강지역에서 활동하였다.” 프랑스 학자 에두아르 샤반느(Edouard Chavannes)는 투르크 초기에도 景敎와의 접촉한 자료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에두아르 샤반느는 말하기를 “景敎가 591년 전 30년간 이미 카슈가르(康居) 지역에 있는 투르크인 사이에 전파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 사람들도 같은 시기에 이 십자가 문신을 하였다. 이것은 투르크인 중에 이미 景敎徒가 있었다는 증거이고, 635년 서안 大秦景敎流行中國碑를 통해 알로펜이 중국에서 선교했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것이었다.” 이는 6세기 중엽에 이미 투르크인들이 景敎를 신봉하였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자료에 따르면, 기원 591년에 동로마가 아르메니아 사람을 보내 페르시아 왕 호스로우 파르위즈(Khosrou Parwiz)를 도와 바흐람(Bahram)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당시 포로가 된 병사 중에 이마에 십자가 부호 문신이 있는 투르크인이 있었다. 이때, 페르시아 왕이 코끼리를 풀어 포로들을 다 밟아 죽였는데, 이마에 십자가 문신이 있는 투르크인만 살려 로마 황제에게 보냈다. 로마 황제는 이 십자가의 출처에 대해 물었고, 東소그드 지역에 역병이 유행한 적이 있었는데, 景敎徒들이 십자가를 이마에 문신해 역병의 재앙을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고 하였다.

당조가 세워지기 전, 실크로드의 거점 지대인 신강지역은 줄곧 투르크 부락이 관리하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아마도 당의 正史가 기록되기 전부터 景敎는 이미 신강에서 전파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당나라가 세워지고 나서 동투르크와 서투르크가 잇따라 당나라에 항복했고, 이후로, 그들은 주로 영주(靈州), 삭방(朔方, 지금의 내몽골 등 서부지역에서 살게 되었다. 景敎徒 역시 이들 투항된 투르크인들 사이에서 활발한 선교활동을 진행했을 것이다. 이리하여, 서역은 장기간 동안 景敎의 전파와 발전의 근거지가 된 것이다.

둘째, 845년의 무종멸불은 景敎의 서역에서의 활동에 큰 장애가 되지 못했다. 당의 강성치세 때, 서역과 중원지대가 하나가 되어 중앙정부의 명령이 사방까지 달했지만, 775년에 안사의 난이 일어나므로 당은 서역에 대한 관리권을 잃게 되었다.

이 틈을 타고 토번(吐藩: 티베트) 세력이 과사(瓜沙) 일대에 침투하여 781년에 사주(沙州)가 함락되었다. 돈황과 다른 서역지역은 그로부터 반세기 동안에 토번의 통치를 받았다. 토번이 서역을 통치하던 후반기에는 끊임없이 내란이 일어났고, 장의조(張議潮)가 돈황인들을 이끌고 토번 장군을 물리쳐 돈황지역이 다시 의군(義軍) 통치 시기(848~1036)에 들어섰다. 이어서 서하(西夏)가 사주를 점령하므로 인해, 돈황 이서의 모든 지역에는 당조정의 전령이 도달하지 못했다.

그때의 서역은 이미 중원 정권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당의 각종 정치 명령은 서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서역에 밀려든 景敎 행렬은 멸불사건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활동이 다소 활발하기까지 하였다. 이는 돈황문서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는데, 돈황문서 S1366 귀의군사아내맥유파용력(歸義軍使衙內麥油破用歷)의 기록에 따르면: “감주(甘州)에서 온 페르시아 승려 매월 밀가루 7말, 기름 1되,……26일, 페르시아 승려에게 밀가루 1섬, 기름 3되 지출”. 그리고 S6551 불설아미타경강경문(佛說阿彌陀經講經文)에 따르면:

“신을 믿는다는 사람이 어떤 신을 믿는가? 마니(摩尼)불도 아니고, 페르시아신도 아니고, 화천(火祆, 조로아스터)신도 아니다……서천(西天)에 의하면, 96가지의 외래종교를 말하자면 그 중에서 페르시아, 마니, 화천, 곡신(哭神) 등이 있다…”

이 기록에 나오는 페르시아 성직자는 즉 景敎徒들이다. 자료1은 景敎徒들이 감주(현 감숙성 張掖)에서 돈황까지 왔다고 기록하였다. 자료2는 장광달(張廣達)과 이정우(李正宇)의 연구에 따르면 고창 위구르 왕국 때 작성한 것이었다.

불경에서 景敎에 관한 내용을 언급함도 참 신기하다. 이것도 역시 景敎가 고창지역에 이미 어느 정도의 사회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7~11세기 하서(河西)에 있는 광활한 지역에서 줄곧 景敎徒들의 활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중원에 정국의 변화가 있었지만, 변강 지역에 정권이 교체한다고 이런 사실이 변하지는 않았다.

장의조장군통군출행도(張議潮將軍統軍出行圖): 돈황 막고굴 제156호굴 벽화(壁畵)/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셋째, 景敎의 의료선교는 무종멸불 이후, 오히려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景敎徒들은 “많은 독특한 기계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의술을 잘 베풀고, 굶주린 사람들을 먹이고, 추위에 떠는 자들에게 입히고, 아픈 자를 치유하며, 죽은 자의 장사 지내주기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런 의료선교적 특징은 景敎로 하여금 각 계층의 많은 사람을 접촉하게 하고, 어려운 국면을 타개하였다. 광범위한 각 계층과의 접촉이 이뤄졌고, 알로펜, 이사(伊斯), 급열(景淨) 등, 높은 승려들이 궁정의 당의 통치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멀리 떨어져 있는 바그다드에 있는 디모데 주교와 칼리파 마흐디와의 밀접한 관계도 잘 유지하였다. 때문에 초기 景敎는 낮은 계층의 민중의 호감을 받았을 뿐 아니라, 황실 귀족의 환심마저 살 수 있었다.

무종이 “景敎, 조로아스터교 신도 3천여 명에게 신앙을 포기토록 하여 본토의 풍습을 더럽히지 않게 한” 이후에도, 중원지역뿐만 아니라 서북지역에 있는 景敎徒들은 도교의 도움을 받아 지속적인 활동을 하기도 하고, 정치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상기 자료는 돈황문서에 있는 내용으로, 감주의 페르시아 성직자가 돈황에 온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다만, 아쉬운 건 “회창멸불” 이후에 실크로드에 살고있는 景敎徒들이 어떻게 그들의 의술로 백성과 통치자들을 섬겼는지에 관한 직접적인 자료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원나라 때의 위구르 景敎徒의 활동을 통해 그들의 사역을 조금 엿볼 수 있다. 원대 때 의술을 잘하는 景敎徒들이 많았는데. 그들 중에 의술을 잘하는 섭지아(聶只兒), 수학을 잘하는 강리불화(康里不花) 등이 있었다. 당나라 초기와 원나라 때 景敎徒들의 활동으로 봤을 때 서역에 있는 景敎徒들이 의료선교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신앙공동체의 민족성은 서역에서의 景敎 전파에 도움을 주었다. 실크로드에서 景敎를 믿는 신도들 대부분이 서로 다른 실크로드상의 민족들이었는데, 이 민족들의 대부분이 소무구성(昭武九姓) 성씨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지니스를 잘하는 사람들이고, 오랫동안 실크로드에서 활동하였다. 그들은 비단길을 통한 무역 왕래의 역할을 하면서 기독교 복음의 메신저 역할도 담당하였다.

이는 돈황에서 발견된 9~10세기의 소그드어 문서가 이를 증명하기도 한다. 그중에서 설아길사(薛兒吉思) 목사가 작성한 서신이 있는데, 이 서신의 본문 내용은 무역사업에 관련된 것이었고, 부언 부분에 그가 돌궐 말로 EL Bars란 친구에게 David 성직자를 잘 돌봐달라는 내용이 있었다. David는 기독교 신도의 흔한 이름이다. 그는 당시의 景敎 성직자인 걸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소그드어 비즈니스 문서에서 “하나님의 이름으로”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뿐만 아니라, “요한” 등 기독교 신도들이 자주 쓰는 이름도 나왔다. 景敎 문화가 실크로드에서 활동하는 상인들의 일상생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상인들의 무역활동은 결과적으로 景敎의 비즈니스 선교를 촉진시키게 하였다.

위 4가지의 분석을 통해, “회창멸불”이, 그때 당시 서북지역 景敎 발전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무종멸불로 인해 내지에 있는 “異敎”들이 다 사라진 후에도,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도시인 돈황과 고창이 엄연히 景敎 발전의 중요한 핵심지대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장안의 鐘樓/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景敎 성경문헌의 한문번역

당대의 번역자는 그 나름대로 발음도 히브리어 원음에 가깝도록 번역하고 한자의 뜻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① 하나님이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복수 엘로힘(אלהים)을 단수로 전능하신 하나님을 부를 때 엘로하로 부른다. 엘로하를 아로하(阿羅訶)로 음역하였다.
② 메시야(Messia)는 히브리어로 기름붓다 라는 마사(םש)라는 동사에서 메시야(משיח)라는 단어가 생겼는데 메시야를 음역하여 미스아(彌施訶, 迷師訶, 迷詩訶)로 음역하였다.
③ 예수(Ίησους)는 히브리어로 여호수아(יהושוע)이며 구원이란 뜻이다. 예수의 음역으로 이슈(移數, 移鼠)로 음역하였다.
④ 성령을 凉風, 淨風으로 음역하였다.
⑤ 하나님의 강한 자라는 뜻이 있는 가브리엘 천사는 히브리어로 가브리엘(גַּבְרִיאֵל)인데 한자로는 지리에(及烈)로 음역하였다.
⑥ 사탄(Satan)은 아람어로 사탄(שָׂטָן)인데 사단(娑殫)으로 음역하였다.
⑦ 페르시아는 히브리어로(פרס)인데 파사(波斯)로 음역하였다.
⑧ 하와는 히브리어로(חַוָּה)입니다. 한자로는 량허(良和)로 음역하였다.
⑨ 호산나는 鳥沙那
⑩ 예루살렘은 烏梨師斂
⑪ 요단강은 述難
⑫ 기타 성경 상의 인명에 대하여
엘리야는 伊利耶, 솔로몬은 沙羅, 호세아는 賀薩那法王, 다윗왕은 多惠法王, 세례요한은 報信法王, 성마태는 明泰法王, 성마가는 摩矩辭法王, 성누가는 盧伽法王, 성요한은 瑜罕難法王, 시몬 베드로는 牟世法王, 성바돌로매는 岑穩僧伽法王, 성바울은 寶路法王, 성모 마리아는 末艷….

이외에도 능력의 하나님을 히브리어로 엘 샤다이(אל שדי)라 하는데 중국어로 상제(上帝)라고 음역하였다. 상제는 景敎시기 이전에 들어온 호칭으로 한반도의 가야시대 기독교에서도 사용되었다.

“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유할 자 누구오며 주의 성산에 거할 자 누구오니이까!” (시편 15장 1절)

 

파미르의 아침(강찬모 畵)/ 김규동 박사 ◙ Photo&Img©ucdigiN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동방기독교
Dr. 김규동: 실크로드 고대기독교 유물/연구소장(광신대), 광신대학교 초빙교수(한국), 총화복음신학원 객원교수(대만), 하베스트대학교 교수(치앙마이), 동방기독교 역사탐험가, GMS/C&M 선교사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