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복음통일을 위한 탈북민 미주집회를 앞두고

Dr.ElijaKim ◙ Photo&Img©ucdigiN

[영성칼럼=Dr. Elijah Kim] 복음통일을 위한 탈북민 미주집회를 앞두고  » 

“이것을 보는 너는 행복한가?”

영국의 궁궐을 수없이 많이 가 보았다.
그런데 내가 내린 결론이다.
한국의 아파트가 영국의 궁궐보다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한다…

은근히 뼈속까지 스며드는 영국의 겨울 추위, 왕과 왕비와 왕자와 공주들은 이 추위를 이기기 위해 강아지와 함께 하기도 하고, 하인들이 때때로 따뜻한 물을 가져다 주지만 장기적인 해법은 결코 아니다. 저들이 우리 민족의 온돌을 알았을까? 조선에 온 선교사들은 온 대지에 뿌리는 인분 냄새에 곤혹스러워 했고, 무슨 맛인지를 알 수 없는 쌀밥이나 보리밥에 아주 몸서리를 쳤다. 밤마다 다녀가는 뒷간(화장실)은 선교사 생활 통틀어 가장 적용하기 힘든 것이라고 고백했다. 그런데 그 춥고 덥고 힘든 조선 땅에서 이구동성으로 고마워한 것이 있으니 바로 온돌이다. 유진벨 선교사와 그의 부인 로티 벨 여사의 기념관을 방문하고 그와 관계된 책들을 읽어 보았다. 나의 눈을 사로잡는 글이 있었다. 유진 벨 선교사가 “우리 조상들(미국인을 말함)이 조선의 온돌을 알았더라면 콜로라도의 록키 마운틴을 건너면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결코 죽지 않았을 것이다.”는 대목이었다.

지금 이 시대는 조선의 왕들보다, 영국의 군왕들보다 더 큰 문화적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다. 그 혹독한 겨울에는 따뜻한 보일러로 온 집을 데운 체 우리를 맞이하고, 자정이 지나도 푹푹 찌는 더위에도 온도까지 알아서 시원케 하는 에어콘은 이제 보통 사람이 누리는 것이 되었다. 얼음을 깨고 방망이질을 하며 빨래하던 아낙들의 고통은 버튼 하나만 누르면 그 힘든 빨래를 탈수까지 다 해 준다. 군불 때며 가마솥에 지어내던 밥은 전기 밥솥에 스위치만 누르면 노릇 노릇 가장 우리의 혀를 자극하는 밥이 지어진다. 손을 호호하며 고양이 세수하듯 준비하는 따뜻한 물은 부엌에도 화장실에 수도 꼭지만 돌리면 나온다. 우리가 화려하고 규모가 큰 집을 구해야만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것인가? 비록 고시촌 허름한 숙소에도 온수는 나오고, 공동으로라도 목욕할 공간은 있다. 이 땅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한 것은 소유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존재함에 숨쉬고 바라보고 느끼고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만 있어도 행복한 것이다.

나는 유럽을 다니면서 화려하고 아름답고 뛰어난 건축물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 수많은 노력과 수고 가운데 역사에 남은 유적물들이 참으로 즐비하다. 그런데 그 많은 것들을 볼 때마다 내게 드는 질문이 하나 있다.

“이것을 보는 너는 행복한가?”이다.

유럽의 대성당이나 교회 그리고 박물관과 많은 건축물에는 화려하고 미술 교과서에 보던 화가들이 그린 그림들이 corridor와 방마다 가득하다. 특히 이런 모습은 유럽의 궁궐을 방문하면 더 분명해진다. 각 방 벽에 있는 융단(Tapestry)은 당시 역사의 소시민들의 생활상이 담겨 있기도 하고, 국가의 운명을 가르는 전쟁 씬(scene)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기승전결을 다 넣어서 담아 내기도 하고, 때론 그 계절에만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포인트를 잡아 그린 자연이 파노라마처럼 담겨 있기도 하다. 때론 입을 다물 수 밖에 없는 그 엄청난 장면을 화가의 그림이 아닌 수를 놓아 만든 융단은 아라비아의 카펫과는 격이 달라도 한 참 다르다. 유럽의 단 한 나라도 빠지지 않고 다 가보았지만 정말 놀란 입을 다물지 못했던 것은 유럽 성당과 교회의 그 놀랍고도 정교하며 기하학적이면서도 대치되는 개념이 담긴 천정 즉 예술적 미학까지 뽐내는 천정이다.

특히 캠브리지 대학 내에 있는 킹스 채플 천장이다.

20여년 영국 유학 중에 있을 때 캠브리지에 있는 킹스 채플을 방문했을 때의 놀라움과 경이와 건축학적 예술에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말을 잃어버린 것 같은 나의 심정이 떠오른다. 중세 로마네스크부터, 고딕으로부터, 그리고 근대 바로 직전의 르네상스, 그리고 바로크, 로코코, Neo-classic, 낭만주의, 절충주의, 아르느보(ART NOUVEAU)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럽의 건축물을 보아왔지만 캠브리지는 중세 건축의 살아있는 전시장이며 도시 자체가 박물관이었다. 캠브리지, 옥스포드, 요크셔, 에딘버러 등을 방문하다 보면 그냥 대영제국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국은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of the United Kingdom그리고 The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에 등재된 수많은 역사 유적물들을 일일이 탐방할 때마 영국 문화 유적지가 갖고 있는 힘을 보며 나 혼자 이러한 유물과 역사적 건물들을 보는 것에 죄책감까지 느낀 적이 많았다.

요크셔 대성당(York Minister)에 갔을 때 웅장한 고딕 양식은 아직도 눈 앞에 어른거릴 정도이다. 요크 성당이 건축되던 때 우리나라는 몽골의 침략이 있었고 삼별초의 난이 있던 고려 시절이다. 물론 요크 대성당은 천년 이상을 건축과 파괴 그리고 재건축을 했지만 지금 우리가 보는 요크 대성당은 1226년에 시작하여 1472년에 완성했다고 하니 그 건축 기술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요크 대성당하면 128개에 달하는 성경 전체의 스토리를 장엄한 서사시로 그려내 듯 만든 스테인글래스 창문을 떠 올릴 것이다. 게다가 아치형 천장과 Bell Tower로 알려진 Great Central Tower는 주변도시를 다 바라볼 수 있는데 눈 앞에 펼쳐진 중세도시의 모습에 압도당한 경험이 아직도 생생하다. 특히 성당 안의 조각품이 그 어떤 나라보다도 더 인상적이었는데 더불어 성경 필사본과 미술품들도 루브르 박물관 못지 않았음을 보며 영국이 가진 문화적 저력에 사뭇 놀란 기억이 새롭다.

그런데 개인마다 느끼는 감정이 다르기에 “어디가 최고다”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300만점의 소장품을 갖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쥐 박물관은 소장품의 규모와 크기에 아마 압도당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사실은 내게 가장 압도적인 감흥을 준 것은 에르미타쥐도 아니고, 루브르도 아니고, 캠브리지의 킹스 채플 천정이다.

지금은 캠브리지 대학의 킹스 칼리지로 알려져 있고 이 킹스 채플은 1441년에 세워졌다. 유럽엔 워낙 고딕 양식의 건물들이 많아서 대표적인 고딕 건물들을 나열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러나 캠브리지의 킹스 채플은 내게 예외적으로 감흥을 주는 건축물이다. 킹스 채플의 천장은 선형 모양으로 영국 튜더 왕조가 자랑하는 건축미학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세종대왕이 한글 창제를 했던 1446년에 건축을 시작한 킹스 채플은 70년이 걸려서 지은 건물이지만 나의 눈은 어떻게 인간이 저토록 아름다운 천정을 지을 수 있는가?이었다. 나는 캠브리지 대학 서점과 헌책방을 뒤져서 킹스 채플 건축에 대한 서점들을 구입하였고 숙소로 돌아 온 나는 가져 온 책들을 빠짐없이 읽기 시작하였다.

킹스 채플 천장은 영국 특유의 부채꼴 천장이며 규모로도 세계에서 가장 크다. 킹스 채플 건립이 70년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킹스 채플 천장은 놀랍게도 그것은 마스터 석공인 존 웨스텔(John Wastell)에 의해 단 3년 만에 지어졌다. 유리가 매우 귀한 유럽 전역에서는 스테인글래스 창문을 완성하는데 수십 년 또는 수백 년 걸리는 것이 당연한 일인데, 천장을 이토록 빠르고도 아름답게 지은 것에 주목하였다. 여러 책들을 살펴보니 둥근 천장 (Vault)은 우리 눈에 보일 뿐이고 건축 서적들이 보여 주는 것은 둥근 천장 위에 있는 수많은 거미집 같은 조형물들이 이 천장을 받치고 있고 연결하고 있음을 보며 크게 논란 적이 있다. 그 시대에 그러한 장비를 갖고 저런 천장을 만드는 장인 정신과 기술 그리고 미학적 감각에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는 때때로 눈에 보이는 세계에 탐닉할 때가 많다. 저 아름다운 숲, 귀속까지 청아하게 들리는 폭포소리, 에메랄드 빛으로 물든 바닷가, 형형색색의 열대어들이 노니는 바닷속을 보면서 감탄할 때가 많다. 그러나 그 아름다운 자연도 바쁜 일상에 치여 매일 다니는 길에서 마주치는 숲을 보고도 아무런 느낌을 갖지 못할 때가 있다. 폭풍이 몰아치는 궂은 날이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떠오르는 태양을 보고도 무심코 스쳐 지나가는 현대인들의 마음에, 감탄과 삶의 활력을 주는 자연을 보고도 다람쥐 쳇바퀴 돌아가는 일상에 눌려 감정도 무디어지고 있다.

필자는 오늘 워싱턴 디시에서 열리는 탈북민 목회자들과 미주 한인교회들이 맺는 자매 결연식과 앞으로 통일을 준비하며 북한 복음화를 위한 연합집회에서 말씀을 전하기 위해 워싱턴 디시로 떠나게 된다. 탈북민 목회자들이 모두 지금 글을 쓰는 이 시각 인천 공항을 출발했다는 전갈을 전해 왔다. 이번 탈북민 목회자들을 통해 우리의 기도인 북한 복음화에 새로운 전기가 열리기를 충심으로 기도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 주일 예배를 마치고 Boston United Worship을 위해 Haverhill 도시로 가게 되었다. 출발 시간이 6시 즈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어제까지 천둥 치며 사납게 내리치던 비는 그치고 대지를 넘어가는 일몰은 따스하기만 했다. 달리는 차창 밖으로 보이는 나무와 숲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너무나 청명한 파란 하늘엔 어떤 구름을 놓아도 작품이 될 것 같은 모습이었다. 겨우살이를 떨구어 내는 푸른 잎이 이토록 무성하게 뻗치고 있음을 달리는 차창밖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내 인생 작고 좁은 집에만 거하다고 밖으로 나와 숨을 내쉴 때 그 시원한 바람 폐부까지 들어 올 때 느끼는 감정, “인생은 살 만하다”는 것이다.

좋은 집이 있어서, 화려한 직장이 있어서, 최고의 요리사가 해준 음식이어서, 안락한 소파와 온갖 편의시설이 다 갖추어진 아파트여서, 융단위를 미끄러지듯 달려 주는 좋은 차가 있어서가 아니다. 이 작은 몸으로 들이 마실 때 느끼는 공기와 산소, 내 눈앞에 보이는 저 푸른 잔디, 티끌 하나 놓치고 싶지 않은 저 파란 하늘을 보며, 하나님께서 만든 자연, 그리고 그 모든 특권을 다 홀로 다 누리는 것 같은 행복감, 그리고 그 모든 감격을 기도에 올려 창조주 하나님을 높이는 것이라면, “그래도 우리 인생은 살 만하다”는 것이다.

오 아름다운 인생아

거북 등보다 두터운 듯
저녁거미에 짙게 드리운 밤 그림자
우뚝 솟은 네 키라해도
하늘 아래 너의 모습
타락줄 타고 가는
노적가리 난장이라

피톤치톤 향기 옷소매 파고드나
베를린 필하모니 어찌 저 메미소리 당하리요
나뭇잎은 사박사박
발걸음 터벅터벅
자근덕 거리듯 빠저드는 숲속 뒤안길아
자잘한 이끼같은 네 모습에
길 잃은 나그네 행복 미소 달래 주렴

여울 넘실대는 망망대해
끝 간데 없는 태평양도
멀리 보면 물 웅덩이
시베리아 드르팟은
펼쳐지는 산수화라
저 복잡한 서울 도심
딱 한개 짜리 촘촘한 골프공이라

드난살이 고생길 인생아
좁디 좁은 집이라도
숨을 쉴 수만 있어도
인생은 동글반반
이 땅의 모든 것
그어찌 아름답지 않은가

<시어 풀이>
저녁거미 : 저녁이 되어 어둑어둑하여질때
타락줄   : 사람의 머리털로 꼬아 만든 매우 질긴 줄(몹시 질기고 오래 견딤)
노적가리 : 한데에 쌓아 둔 곡식더미.
자근덕거림 : 남이 싫어하도록 몹시 조르는 일
드난살이 : 드나들며 고용살이 하는 일.
동글반반 : 생김새가 동그스름하고 반반한 것을 말함

보스톤에서 김종필 목사 올림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영성저널
Dr. Elijah Kim: 보스톤 소재 파토스 재단 대표(President, Pathos Foundation, Inc.)/ 보스톤 연합예배(Boston United Worship) 및 미스바 기도 대각성 (Boston Mizpah Prayer Awakening)의 주최자(Organizer)/ 필리핀 Grain of Wheat College and Graduate school (Founder and President, formerly Elijah International World Mission Institute) 설립자 및 총장 역임/ 필리핀 한 알의 밀알 교회 개척 및 목사(Pioneer and Overseer Pastor, A Grain of Wheat Christian Ministries, Philippines)/ 글로벌 어반 미니스트리 네트웤 창립 멤버(Founding Member, Global Urban Ministries Network)/ 보스톤을 위한 목회자 기도회 설립(Founding Member, Prayer For Boston)/ 북미 정상 기도회 멤버(North America Prayer Summit) 등 각종 선교 대회 개최 및 인도 ( BAM, CBMC, 백석대학교, 세계한인디아스포라 선교대회)/ 부흥 시리즈(부흥의 역사, 부흥 신학, 부흥의 영성, 부흥과 선교 등) 세미나 및 집회 인도 사역 중이다.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