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전문인 선교변증학
[문화칼럼=김태연 원장] 2024년 전문인 선교변증학 »
전문인 선교 변증학(Professional mission apologetics) 의 원리 규정
전문인 선교변증학의 방법론 (Methodology)에서는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수많은 방법론을 도입할지라도 무익한 것이 되고 말 것이며 결국 전지하신 하나님omniscience of God과 과학science과 선한 양심conscience의 상관성에 관한 성경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면 하나님의 성품character을 인식할 수 없다는 전제론을 논증하였다…
1. 전문인 선교 변증학(Professional mission apologetics) 의 원리를 더 큰 선 more good 주의(성경을 전제로 한 개혁파 신학과 성경적 복음주의의 신앙고백주의), 더 작은 선 less good 주의(인간 이성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그리고 종교다원적인 자유주의적 더 큰 악 more evil (세속철학과 타종교)과 더 작은 악 less evil(무종교)로 규정한다.
그리고 나는 전지하신 하나님 omniscience of God의 존재 증명과 함께 성경에서 말씀하고 있는 성육신의 원리와 비판적 상황화에 기초한 문화명령 지상대명령 서로 사랑의 교리를 요약하여 전문인 신학의 이슈가 되는 내용들을 7/11 신학의 원리로 설명하였다(별첨).
2. 전문인 선교 변증학의 역사를 더 큰 선 more good 주의 입장에서 더 작은 선 less good 주의와 더 큰 악 more evil 주의와 더 작은 악 less evil 주의를 비평하면서 개혁파 신앙 고백주의에 기초한 전문인선교 교리를 변증한다.
3. 전지하신 하나님 즉 하나님에 관한 인식론을 다루면서 성경이 말씀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과학적 성품 인식론을 변증한다.
4. 전문인 선교변증학의 방법론 (Methodology)에서는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수많은 방법론을 도입할지라도 무익한 것이 되고 말 것이며 결국 전지하신 하나님님omniscience of God과 과학science과 선한 양심conscience의 상관성에 관한 성경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면 하나님의 성품character을 인식할 수 없다는 전제론을 논증하였다.
5. 성경주의 (Biblicalism)와 선교형 전문인 교회적 지상대명령에 의한 전문인 선교 변증학을 논증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전문인 선교 변증학의 맥락은 성경과 선교형 교회 신앙고백에 기초한 신앙과 신학의 현실 현장에서의 성육신적 전문인주의 (Professionalism)를 강조하고 있다.
전문인 선교신학의 7-11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7R(Redemption)과 전문인 신학 11가지 T(Theology)신학 요소를 융섭하여 한국교회의 모델을 제시해보는 것도 Seminex 시대에 소중한 것이다. 교회 밖의 교회운동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예배당 밖의 교회운동이요 움직이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선교형 교회운동이다.
명칭을 세븐 R을 성공모델을 흡수하는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이는 식스 시그마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진정한 동일시 회개에 기초하여 정치 본 어게인이 시작해야 정치 변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 여섯 단계는 몇 가지 유형이 있으나 일단 기본형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A. 7R(Redemption)
1. 회개(Repentance)
2. 부흥(Revival)
3. 개혁(Reformation)
4. 화해(Reconciliation)
5. 구조조정(Restructure)
6. 빚 탕감(Remission)
B. 일레븐 T로 하는 것도 성공모델을 흡수하는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1. God-centered Worldview –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
전문인 리더는 먼저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사고를 해야 한다. 하나님의 뜻을 준행하기 위해서 이 땅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길을 순종하는 것이다. 사랑의 원자탄 즉 원자력발전과 북한의 비핵화는 하늘과 땅 차이이다.
2. Jesus-like Ministry – 예수님 같은 사역
예수님을 본받는 사역이란 가르치고 치유하시고 선포하시는 사역을 말하는 데, 이 사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본받는 예수 품성을 배우는 것이 소중하다.
3. Servanthood leadership – 종으로서의 리더십
섬기는 종으로 오신 고난받는 종의 자세를 가지고 성화되는 과정 가운데 헌신을 위한 고난과 희생을 위한 고난이 필수적인 것이다.
4. Global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 범세계적 기독교 세계관 입장
한국 속의 세계, 세계 속의 한국으로 기독교 세계관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글로칼로 나아가야 한다. 세계문화시민권자로서 문화교류를 통해서 영적 돌파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5. Christian Peace facilitator Koreana –코리아 크리스챤 평화촉진자
대한민국의 영향력은 촉진자이지 우리가 주도권을 쥐고 군림하는 자세는 아니다. 우리가 사회주의 국가들의 위장 평화를 전천후로 경계해야 한다.
6. Every Believer’s Missionaryhood – 전신자선교사주의
선교 4.0시대는 나도 비라카미 선교사의 시대이다. 모두가 자신의 직업 가운데서 생활전도자가 되는 것이다. 100만명의 SNS선교사를 양성해야 한다.
7. Contrariwise Channel of Blessing –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복의 통로
소유의 창고의 시대에 축복의 창고로 전환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축복의 통로가 되는 것이 예수의 피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이다. 그리고 순교하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복의 통로”가 되는 길이다.
8. Incarnational mission – 성육신적인 선교
자기비하의 원리, 동일시의 원리, 성육신의 원리에 기초하여 우리는 섬기는 종으로서의 선교사역을 할 수 있다.
9. Five-Fold Professionalism – 5중 전문성(언어, 지역, 직업, 사역, 성령의 기름부으심)
10. Critical Contextual Theology – 비판적 상황화 신학
무비판적 토착화로 인한 해방신학과 무비판적 상황화를 한 민중신학을 비판적 상황화를 해야 한다. 그것이 전문인 신학이다. 전문인 신학은 사도 바울의 자비량 선교와 피터 드러커의 전문인의 조건에서 비롯된 것이다.
11. Intercultural Leadership – 문화교류 리더십
선교라는 말 자체가 미제국주의를 상징한다고 비판을 하니 우리는 국내에서는 문화교류 선교라는 개념으로 선교를 실천하고 해외에서는 문화교류라고 실천하고 있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