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도가 되는 말
[새벽묵상] 기도가 되는 말 » 약 3:1-12 » 한은선 목사 » Ein Wort, das zum Gebet wird! 곧 좋은 말은 좋은 영혼에게서 나옵니다. 그러기에 말보다 마음을 먼저 고쳐야 합니다. 말의 문제는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심성의 문제요 겉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속사람의 문제입니다. 미움의 말 한마디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사랑의…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영성칼럼] 참부흥의 불길 타오르게 하소서! » 필자 Dr. Elijah Kim  »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다 할렐루야! 무사히 안전하게 국제선교대회와 32주년 예배를 마치게 하신 하나님 한 분께만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모든 탈북민들이 성령충만함 받고 영적 재충전과 트라우마로부터 내적치료를 받게 하시고, 안전하게 귀국하시게 하신 주님께 또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디지털 교회를 위한 교회론

Ecclesiology for a Digital Church ◙ Photo&Img©ucdigiN

[신간안내] 디지털 교회를 위한 교회론 » 하이디 A. 캠벨, 존 다이어 지음/ 출판사: 이레서원 »

본질적 교회론과 상반되지 않고, 오히려 이미 하고 있는 일을 강화하고 확장해…

디지털 교회론은 우리가 새로운 기술을 ‘부족’하거나 ‘더한’ 것으로서 교회를 위협하거나 대체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지양하고, 대신에 교회가 그 구성원들과 세상에 제공할 수 있고 또 교회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의 ‘일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앤서니 뤼 듀크는 2장에서 디지털 미디어가 성사와 현존에 대한 로마 가톨릭의 신학을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는지 보여 주었다. 마찬가지로 토마스 슐락과 사브리나 뮐러는 ‘진 플루언서’가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대면 환경에서는 불가능했을, 신앙과 일상생활을 연결했는지 상기시켜 주었다. 이러한 사례들 중 어느 것도 본질적인 교회와 상반되지 않았고, 오히려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미 하고 있는 일들을 강화하고 확장해 주었다. _ 디지털 교회의 주제

책 소개 

Ecclesiology for a Digital Church ◙ Photo&Img©ucdigiN

디지털 문화의 신학, 교회론, 교회라는 주제에 관하여 5년 이상 목소리를 내왔던 전 세계 신학자들과 종교 미디어 학자들 14명이 모여 앞으로 교회가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장기적인 전략을 모색할 때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주요한 신학적 질문들을 성찰한다. 이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미국에서 진행한 신학적 연구들을 조명하고, 각각 개신교와 가톨릭 전통을 대표하고자 전략적으로 선발되었다.

디지털 종교와 디지털 교회 담론의 세계적 권위자인 하이디 A. 캠벨은 저명한 신학자들과 신진 학자들을 조합시키고, 남성과 여성 저자들의 숫자를 균형 있게, 그리고 현대의 신학적 담론에서 자주 배제되었던 남반구나 서구의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도록 집필진의 절반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신학적 주장들을 통합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각 학자가 디지털 문화, 윤리, 그리고 신학에 대하여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팬데믹으로 인해 확장된 새로운 예배 환경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교회의 발전 양상과 동향을 살피고, 교회에 적용 가능한 신학적 통찰을 제공하는 다양한 글들이 하나의 모음집으로 나오게 되었다.
만약 디지털 교회론을 다양한 관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생각한다면, 한쪽 끝에는 온라인 교회를 의미와 가치가 전혀 없다고 보는 입장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디지털 예배가 오프라인 대면 예배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옹호하는 입장이 있을 것이다. 팬데믹 이전에 많은 교회의 지도자들과 회중은 전자의 관점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온라인 사역을 회의적인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내키지 않는 마음으로 대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교회가 온라인 실험을 강요당하는 것이 처음에는 어색하고 어려웠지만, 디지털 교회의 잠재적인 몇몇 이점을 또한 경험하도록 만들었다는 점에 있어 동의했다. 이러한 사실은 그 스펙트럼에는 온라인 예배를 오프라인 대면 예배와 동일시하지 않고도 온라인 예배와 이에 대한 참여의 타당함과 이점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입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 책에서는 디지털 문화의 신학, 교회론, 교회라는 주제에 관하여 5년 이상 목소리를 내왔던 전 세계 신학자들과 종교 미디어 학자들 14명이 모여 앞으로 교회가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장기적인 전략을 모색할 때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주요한 신학적 질문들을 성찰한다. 이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미국에서 진행한 신학적 연구들을 조명하고, 각각 개신교와 가톨릭 전통을 대표하고자 전략적으로 선발되었다.

디지털 종교와 디지털 교회 담론의 세계적 권위자인 하이디 A. 캠벨은 저명한 신학자들과 신진 학자들을 조합시키고, 남성과 여성 저자들의 숫자를 균형 있게, 그리고 현대의 신학적 담론에서 자주 배제되었던 남반구나 서구의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도록 집필진의 절반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신학적 주장들을 통합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각 학자가 디지털 문화, 윤리, 그리고 신학에 대하여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팬데믹으로 인해 확장된 새로운 예배 환경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교회의 발전 양상과 동향을 살피고, 교회에 적용 가능한 신학적 통찰을 제공하는 다양한 글들이 하나의 모음집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 책 속에는 또 하나의 지구, 디지털 지구(Digital Earth)를 하나님의 사랑의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는 새 길이 있다.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다.

PART 1 디지털 교회 이론화하기
1장: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지역 교회와 보편 교회라는 전통적인 개념 사이를 이어 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식을 탐구한다.
2장: 1장과는 다르게, 지역적이고 교회론적인 맥락에서 온라인 세계의 친교와 현존 개념을 분석한다.
3장: 교회 전통들이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어포던스(디지털 기술과 사용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주어지는 기회와 가능성)를 해석하는 방식을 다룬다
4장: 성사(sacrament)라는 렌즈로 디지털 교회론에 접근하는 질문들을 소개한다.

PART 2 온라인 전환에서 배운 교훈
5장: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신약의 은유와 ‘하나님 백성’이라는 구약의 개념을 비교하여, 디지털 세상 속에서 교회의 기능을 설명해 준다.
6장: 종교와 관련된 인플루언서들의 활동을 탐구하고, 그들의 독특한 종교 경험들이 ‘모두를 위한 그리고 모두와 함께하는’ 참여적 교회라는 새로운 이해에 기여한다는 점을 분석한다.
7장: 오순절 은사주의 교회가 팬데믹을 조직적, 신학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8장: 새로운 (인터넷) 언어를 배워 가시적인 하나님나라를 이루려 할 때 부딪히는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한다.

PART 3 미래 교회를 위한 새로운 디지털 실천들
9장: 영적인 것을 매개하고 미디어를 영적인 것으로 만드는 우리의 선택이 교회의 특징과 증인 됨을 결정한다는 이론을 설명한다.
10장: 설득 테크놀로지(persuasive technology)와 종교적 예전(liturgy) 사이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이 두 가지가 신자들에게 특정한 행동 유형을 하게 함을 살펴본다.
11장: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어린이들이 예배를 더욱 만족스럽게 그리고 더욱 신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창조적 방식을 제시한다.
12장: 교회가 대면 설교 중심적 모델에서 줌(Zoom)과 같은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것이 예배에 독특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한다.

책 속에서

우리가 이 책을 처음 기획했던 때는 2020년 3월이었다. 그때 하이디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 유행병(글로벌 팬데믹)으로 막 선언되었던 그 시기에 어느 연구소의 방문 교수로 독일에 있었다. 그녀는 거의 25년간 종교 공동체에 미치는 인터넷의 영향력에 관해 연구해 온 학자로서, 불과 몇 주 전까지만 해도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데 저항하는 것처럼 보였던 교회가 종교적 예배를 위해 어떻게 그처럼 신속하게 인터넷을 수용하는지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었다. 한때는 석연치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바로 그 인터넷이 이제는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대부분의 교회 모임을 금지하는 지역 사회 봉쇄 정책에 대응할 해결책이 된 것이다.
_서론: 디지털 교회론에 관한 대화는 무슨 내용을 담고 있을까?

또한 이 책에는 교회가 미디어화된 공간과 기술을 점점 더 의존하게 될 것이라 가정하는 ‘뉴 노멀’(new normal) 시대로의 진입을 준비하는 일에 도움이 되는 신학적 사유와 자료들이 담겨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과 문화를 교회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겨날 신학적이고 교회론적인 문제들에 관한 중요한 통찰과 연구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 책의 전반적인 기획은 저자들이 코로나19와 이 시기에 확산된 온라인 예배로 생겨난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변화들이라는 관점에서 이후의 종교의 모습을 성찰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글들은 앞으로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지만, 현재의 추세가 교회의 선교적 삶을 살아가는 방식과 공동체적 관심에 반해 발생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도전 들을 다룬다.
_서론: 디지털 교회론에 관한 대화는 무슨 내용을 담고 있을까?

팬데믹 기간에 많은 교회가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초기 과정에서 몇 가지 기술적인 어려움에 직면했다. 카메라의 각도는 어색했고, 마이크의 음소거는 늘 켜져 있는 상태였으며, 멋진 밈(meme: 인터넷 용어로서, 흥미롭거나 주목할 만한 말과 행동을 온라인상에서 모방의 형태로 재가공한 콘텐츠를 일컫는다 – 역자 주)이 쉬지 않고 올라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사들과 사제들 그리고 성직자들은 이 상황에 빠르게 적응했고, 그들 중 많은 사람이 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데 상당히 능숙해졌다. 마찬가지로 현재 우리는 기술과 교회론을 논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좀 더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성찰의 시간을 맞이했다.
_1장 미디어화된 에클레시아에 관한 연구: 디지털 시대에 교회를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만약 디지털 교회론을 다양한 관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생각한다면, 한쪽 끝에는 온라인 교회를 의미와 가치가 전혀 없다고 보는 입장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디지털 예배가 오프라인 대면 예배를 완전히 대체하기에 충분하다고 옹호하는 입장이 있을 것이다. 팬데믹 이전에 많은 교회의 지도자들과 회중은 전자의 관점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온라인 사역을 회의적인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내키지 않는 마음으로 대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교회가 온라인 실험을 강요당하는 것이 처음에는 어색하고 어려웠지만, 디지털 교회의 잠재적인 몇몇 이점을 또한 경험하도록 만들었다는 점에 있어 동의했다. 이러한 사실은 그 스펙트럼에는 온라인 예배를 오프라인 대면 예배와 동일시하지 않고도 온라인 예배와 이에 대한 참여의 타당함과 이점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입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디지털 교회론은 우리가 새로운 기술을 ‘부족’하거나 ‘더한’ 것으로서 교회를 위협하거나 대체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을 지양하고, 대신에 교회가 그 구성원들과 세상에 제공할 수 있고 또 교회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의 ‘일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앤서니 뤼 듀크는 2장에서 디지털 미디어가 성사와 현존에 대한 로마 가톨릭의 신학을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는지 보여 주었다. 마찬가지로 토마스 슐락과 사브리나 뮐러는 ‘진 플루언서’가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대면 환경에서는 불가능했을, 신앙과 일상생활을 연결했는지 상기시켜 주었다. 이러한 사례들 중 어느 것도 본질적인 교회와 상반되지 않았고, 오히려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미 하고 있는 일들을 강화하고 확장해 주었다.
_결론: 디지털 교회의 주제

저자소개

하이디 A. 캠벨 (Heidi A. Campbell)
텍사스 A&M 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자 프레지덴셜 임팩트 회원(Presidential Impact Fellow)이며, 뉴 미디어, 종교, 그리고 디지털 문화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the Network for New Media, Religion and Digital Culture Studies/ http://digitalreligion. tamu.edu)의 디렉터다. 온라인 종교 행위와 오프라인 종교 행위 사이의 교차하는 지점을 연구하는 디지털 종교에 관한 글들을 100편 이상을 저술했으며, When Religion Meets New Media, Digital Religion, Networked Theology, 그리고 Digital Creatives and the Rethinking of Religious Authority를 포함하여 10권의 책을 출간했다.

존 다이어 (John Dyer)
달라스신학대학원의 부총장이며 교수다. 웹 개발자로서 20년의 경력을 쌓은 후, 종교 행위의 형성에 있어 디지털 성경과 프로그래머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다. 조직신학, 커뮤니케이션학, 기술, 그리고 디지털 문화 등을 가르치며, From the Garden to the City의 저자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ategories: News 출판/서적
UCDigin: 유크디지N(ucdigiN) 편집국-디지털 저널 및 출판 맞춤 모든 굿 뉴스-세상 땅 끝까지 굿 뉴스를 찾아갑니다. 또한 세상 어디든지 굿 뉴스라면 언제라도 환영합니다.
Related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