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김태연 원장] 레이건 대통령의 리더십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리더십 비교 »
미 대선 앞두고 상대 향한 분열의 정치 멈추어야 한다는 목소리 커져...
트럼프 전 대통령이 레이건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한 지 43년 후에 유세 중에 암살 시도를 겪었다. 한국시간으로 2024년 7월 14일 야외 유세 단상에서 챠트를…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2023년을 보내며 영적인 유산과 교훈 »
휴전 이후 70년을 보내면서 그간의 축복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글...
초일류 대한민국에 대한 비전이다. 이는 앞에서 말한 대로 직장 선교하는 교회의 개념이 코로나 바이러스-19 이후의 코리아 빅토리 한국교회로 가는 첩경이라는 것입니다. 한국의 직장인이 1,200만 명인데 그 중에 십일조만 직장 선교사가 되어도 120만 명입니다. WOMAN입니다.…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전문인의 눈으로 본 한국 메타 교회 리더십 »
크리스토퍼 라이트 박사, 하나님이 그분의 선교를 위해 교회를 품고 계시다
로잔의 지도자이신 크리스토퍼 라이트 박사가 한국에 오셔서 2024년 한국에서 열리는 제4차 세계 로잔대회를 신학적으로 점검하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 그가 쓴 ‘하나님의 선교’에서 강조하는 것은 하나님이 그분의 교회를 위해 선교를 품고…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대한민국 수도 서울 땅의 정신적 문화적 깨달음 »
영적 기업인들로서 누려야 할 투자와 구원의 상관성에 대해서
서울 영등포에서 자리고 종로에서 자라고 개포에서 살다가 이민을 갔다가 돌아온 후에 평촌에 사는 필자의 입장에서 보면 서울이 수퍼 메가시티가 된다고 하는 것은 절대긍정의 법칙에 의하면 해야 하는 것이다. 이민을 갔을 때 김포공항을 통하여 갔는…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정치적 혼혈인 인요한 교수 »
정치적 혼혈인(Political Hybrid) 인요한 교수를 龍의 눈으로 본다
인요한 연세대 의대 교수가 국민의 힘 당 혁신위원장이 되었다고 인요한과 가까운 지인들이 연락이 왔다. 김종인 전 혁신위원장이 노발대발했다고 하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그러나, 필자는 인요한 교수가 국민의 힘 당이 서민을 위한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혈로를…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도덕 재무장과 핵무기 재무장의 상관성 연구 »
chatGPT 시대에 살아남는 길은 국제적 외교와 창조적 예술 뿐...
도적재무장과 핵무기 재무장을 융섭한 개념으로 노래하며 평화를 이루는 이 노래를 제안하고자 한다. 탈원전으로 끝난 시기. chatt GPT 시대에 살아남는 길은 국제적 외교와 창조적 예술 뿐이다. 이 둘을 아우르는 길이 K-Classic 세계화의 길이다. 이런 일이…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핵 시대의 과학 신학과 전문인 원자력 경영신학-2 »
(I) 정(正)의 현대 남성 신학
영화 '오펜하이머'는 '오펜하이머'는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연출에 머피를 비롯해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조쉬 하트넷, 케이시 애플렉, 라미 말렉, 케네스 브래너,…
[문화칼럼=김태연 교수] 핵 시대의 과학 신학과 전문인 원자력 경영신학-1 »
지금, 핵무기 철폐와 원자력에 대한 소중함 바로 알려야 하는 카이로스 시간...
영화 '오펜하이머'는 '오펜하이머'는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연출에 머피를 비롯해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조쉬 하트넷,…
[문화칼럼=Dr. 김태연 교수] 현대 과학문명의 문제와 인간의 해답 »
미래 우주과학경영학의 길을 열며...
문화(culture)는 누군가를 모방하는 밈(meme), 즉 생각의 바이러스에서 시작한다. 누군가 한 명으로부터 새로운 문화는 시작되었다. 기독교 문화는 그리스도 예수 한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것이 타인에게 전달이 되는 것이 문화 교류(interculture)이다. 나부터 문화 교류가 시작한다 는 정신이 나도 선교사(every missionary)이다...
현대 문명의 핵심적인…
[문화칼럼=Dr. 김태연 교수]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에 대한 구속사적 해석학 »
이순신 장군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
연일 후쿠시마 처리수 때문에 무더위에 폭우에 나라가 복잡하다. 필자가 원자력에 관한 책인 전문인원자력신학개론(밀알서원, 2022)을 저술한 목사로서 한국의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참조가 될 수 있도록 전문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백원필박사, 정범진박사)들의 두 강의를 듣고 기고하게 되었다...
서론: 이순신 장군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