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직업 인식
Share This Article
570개 직업 중 만족도 가장 높은 직업 ‘치과의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570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재직자 17,100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조사하여 작년 말에 ‘2019 한국의 직업정보’ 보고서를 발표한 내용을 분석해 그 중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시사토픽] 한국의 직업 인식 »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96호 »
1. 전체 직업 만족도, ‘치과 의사’가 가장 높고, ‘음식 배달원’이 가장 낮아!
• 570개 직업 중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직업은 ‘치과의사’였고, 그 다음으로 ‘비뇨기과의사’, ‘한의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상위 10개 중 7개가 의료인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반해 직업 만족도가 가장 낮은 직업은 ‘음식배달원’이었고, 다음으로 ‘주유원’, ‘구두 미화원’ 순으로 주로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서비스 직군과 위험 요인이 높은 제조 생산직 직군 등 블루칼라 직군이 주를 이루었다.
2. 최근 5년간 기술에 의한 직업 세계 변화가 큰 직업 1위, ‘빅데이터 분석가’
• 최근 5년간 기술 변화로 인해 응답자의 직업 세계에 변화가 있었는지 9가지 항목**을 질문하여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을 합산하여 분석한 결과, 570개 직업 중 ‘빅데이터 분석가’가 기술에 의한 변화가 가장 큰 직업으로 나타났다.
• 다음으로 기술변화로 인해 앞으로 자신의 직업이 기계/장비로 얼마나 대체될 것인지 물어보았다. 기술변화로 인해 향후 5년 이내 업무의 75% 이상이 기계/장비로 대체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직
3-1)우리나라 10개 직업군(대분류) 기준, 연봉이 가장 높은 직업군은 ‘보건/의료직’임
• 전체 직업을 10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각 직업군별 연소득을 측정한 결과, ‘보건/의료직’이 6,727만 원으로 가장 높고,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이 2,809만 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2)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소득은 40대 연령층에서 높고, 50대로 들어서면서 줄어들어!
• 연령대별 연소득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40대까지 소득이 증가하다가 50대 이상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남
• 소득 구간별로 보면, 하위 75%까지의 층은 40대까지 증가하다가 50대로 들어서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상위 25%는 40대까지는 증가하다가 50대 이상부터는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96호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