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 종교개혁 504주년 기념예배
Share This Article
의전 중심의 예배로부터 말씀 중심의 예배로 바꾼 루터
10월 종교개혁의 계절이 또 돌아왔다. 루터 종교개혁 504주년 기념 예배가 10월 31일 오전 10시 비텐베르크성교회에서 열렸다. 코로나 19 상황 가운데서도 이날 약 500여명 정도 참석했다. 2017년 루터 종교개혁 500주년 이후로 가장 많이 모였다. 사람들은 2층 까지 올라갔다.
[독일, 비텐베르크=김현배 목사] 루터 종교개혁 504주년 기념예배 » 비텐베르크성교회 현장 취재 » 루터의 종교개혁 찬송가 ‘내 주는 강한 성이요’ 연주 소리가 울려 퍼졌다.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서서 함께 찬송을 부르면서 기념 예배가 시작됐다.
독일 루터교회 렌케 브람스(Renke Brahms) 목사는 환영사를 통해 “마틴 루터는 하나님 안에서 개인의 자유를 갈구했다. 그는 하나님과 개인의 관계를 중요시했다. 그것이 하나의 운동이 되었다. 기독교는 예수를 통해서 그 자유를 얻게 되었다. 코로나 속에서도 여러 나라에서 와 주셔서 환영하고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루터의 영혼을 뒤흔들었던 시편 46:1-11절을 서로 교독한 후 루터의 기도를 발췌해 기도했다.
“오늘 종교개혁 예배로 인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법과 두려움과 걱정에서 자유하게 하셨습니다. 은혜로 눈을 뜨게 하셨습니다. 믿음을 강하게 하옵소서. 사랑을 더하게 하옵소서.” 아멘.
다 함께 찬양한 후에 사도신경으로 신앙고백을 했다.
독일복음주의교회 협의회(EKD) 의장 하인리히 배드포드-슈트롬 감독(Dr Heinrich Bedford-Strohm)은 갈라디아서 5:1-6절로 말씀을 선포했다.
슈트롬 감독은 “1-2년 동안 코로나 사태를 통해서 불안과 걱정이 많았다. 두려워하면서 교회도 침체했다. 믿는 사람들이 많지만 아직도 연약한 느낌이 든다. 예수님이 자유 할 수 있는 자유를 주셨다. 더 이상 종노릇 하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나 그런 것들로 인해 걱정 불안해 하지 말고 얽매어서 살지 말아야 한다.
루터는 독일 교회사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 당시 영적으로 침체했고, 고위직의 기득권 세력으로 인해 예수가 중심이 아니었다. 그들이 예수로 향한 삶을 여는 게 아니라 오히려 닫아버렸다. 요즈음 세상의 사람들의 중요한 주제는 자유다. 그들이 자유를 찾고 있다. 마틴 루터 킹도, 넬슨 만델라도 자유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루터는 이 자유를 위해 금식하고 고행하고 수도사 생활을 열심히 했다. 그러나 성경 속에서 한 구절을 찾았다. 로마서 1장 17절 말씀을 깨달으면서 내가 무언가를 해야 사랑 받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은 그냥 나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신다. 루터는 인간의 구원은 어떤 공로로 이루지는 것이 아니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이신칭의를 깨달았다. 이 진리를 깨닫는 순간 루터는 자유함을 느겼다.
자유한 그리스도인은 사랑이 특징이다. 믿음과 사랑은 떼어낼 수 없다. 교리만 있고 사랑이 없다면 무의미하다. 교회의 교리와 규율을 따르지만 사랑이 없다면 무의미하다. 교회는 오픈해서 사람들을 초대해야 한다. 세상에 그 사랑을 표현하고 선포하고 보여 주어야한다. 세상에 선한 일들을 해야한다. 우리만 채우고 자족하는 것이 아니라 가난한 나라들을 살려야 한다“고 전했다.
성가대 찬양 후에 주기도문 했다. 슈트롬 감독이 축도한 후 종교개혁 504주년 기념예배를 마쳤다.
1517년 10월 31일 독일의 젊은 수도사 마틴 루터는 비텐베르크성교회 문에 95개 논제를 붙였다. 종교개혁의 신호탄이었다. 유럽과 온 세계 역사의 진로를 바꾸는 강력한 울림이었다.
루터는 예배 개혁에 힘썼다. 의전 중심의 예배로부터 말씀 중심의 예배로 바꾸었고, 하나님 말씀 선포가 예배의 중심에 있도록 했다. 모든 교회의 예전을 생생하게 살아 역사하는 예배로 바꾸었다.
루터는 오직 말씀으로 무너져가는 교회를 다시 세웠고, 절체절명의 위험에 처해 있던 교회를 구했다. 그는 교회를 신약성경이 말하는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일에 일생을 바쳤다. 이 시대에 제 2의 루터, 제 3의 루터가 나와서 교회를 살려나가야 할 것이다. ◙
글 독일, 비텐베르크=김현배 선교사(베를린비전교회)/ 본지 해외편집위원(유럽)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