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세대들과 함께하는 선교포럼 개최
Share This Article
[독일, 베를린=김현배 목사] 다음세대들과 함께하는 선교포럼 개최 »
베를린 역사와 통일 연구소(소장 김현배 목사)는 8월 8-10일까지 베를린비전교회에서 제 3회 다음세대들과 함께하는 선교포럼을 개최했다. 미국, 한국, 말라위,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태국, 독일 등 8개국에서 목사, 교수, 선교사 사모, 평신도, 청년들 약 60여명이 참석했다.
첫날 개회예배에서 오찬석 목사(미국 새누리 주님의교회)는 “육체의 일의 결과는 하나님의 나라를 유럽으로 받지 못한다. 성령을 따라 살 때, 육체의 욕심을 이길 수 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사는 삶을 살 때, 자연스럽게 성령의 열매를 맺을 뿐 아니라 율법을 이루는 삶을 살게 된다”고 전했다.
지금 이 시대에 영적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다. 미국도 영적으로 침체하고 있다. 미국교회에 기도가 사라지고 있다. 다음세대를 세상에 빼앗기고 있다. 잃어버린 기도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김호성 목사
이어 김호성 목사(국제도시선교회대표)는 “지금 이 시대에 영적 상황이 매우 혼란스럽다. 미국도 영적으로 침체하고 있다. 미국교회에 기도가 사라지고 있다. 다음세대를 세상에 빼앗기고 있다. 잃어버린 기도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우리가 살 길은 기도 밖에 없다. 1.1.1 부흥기도운동”을 강조했다.
왜? 쉐마인가, 쉐마 맵, 부모와 함께하는 쉐마교육, 성공적인 쉐마교육을 위한 매뉴얼 말씀증거
설동주 목사
주강사인 설동주 목사(과천약수교회)는 “왜? 쉐마인가, 쉐마 맵, 부모와 함께하는 쉐마교육, 성공적인 쉐마교육을 위한 매뉴얼”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설 목사는 “신명기 6장 4-9절은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명령(4-5절)과 하나님의 말씀을 자녀에게 가르쳐야 한다는 명령(6-9절)이다. 오늘날 우리가 어떻게 자녀교육을 해야 할 것인지를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만약 이 명령에 교회가 순종하지 못하면 복음이 자손대대로 이어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하나님의 말씀을 자녀에게 가르쳐 하나님을 알려주고, 하나님을 경외하고 사랑하도록 해야 한다. 쉐마교육은 유대인의 자녀교육이 아니라 성경적인 자녀 교육이다. 종교개혁자들이 아드폰테스, 즉 본질로 돌아가자고 외쳤던 것처럼, 쉐마교육은 성경,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또 “쉐마운동은 자녀들을 위한 목회의 본질이다. 즉 교회에서는 성도를, 가정에서는 자녀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양육해서 거룩한 하나님의 자녀답게 살게 하는 것이 바로 쉐마의 원리요 정신이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자녀들을 양육하라고 명령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는 본질회복 운동이다”고 선포했다.
강의에서는 김현배 목사(베를린비전교회) “독일통일의 과정과 교훈 및 통일한국”, 유해석 교수(총신대학교) “이슬람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견해”, 한은선 목사(베를린선교교회) “독일통일과 한국 남북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 한미순 교수(기독교 타보르 대학 베를리 캠퍼스) “독일에서의 동성애 및 성다양성(LSBTLQ*) 그리고 독일교회 현장 뉴스”, 김상국 교수(베를린자유대학교) “유럽 안보와 한반도 평화통일: 전쟁, 독일통일 그리고 한반도”, 베르너 페니히(Werner Pfennig(베를린자유대학교 명예교수) “통일된 독일로 가는 과정:정책과 인물의 지속성”, 김정애 사모(독일 백림감리교회) “독일 경건주의에서 배우는 신앙의 유산”, 나승필 선교사(독일 퀸른 난민, 다민족선교) “디아스포라 유대인과 바울사도가 주는 한인디아스포라 교육에 관한 교훈” 등의 다양한 강의를 했다.
사역발제에서 심치현 선교사(GMS 베트남) “사역 주기에 따라 성숙해가는 미션얼 선교사(의 사역보고”, 빌손 선교사(글로벌 청년제자 훈련원 대표) “청년들을 다음세대 지도자로 세우기 위한 제안”, 김조이 선교사(말라위) “죽이고 시작하시는 하나님‘, 조성철 선교사(필리핀 중부루손 플로리다블랑카) “J LEADERSHIP CENTER 사역 사례”, 오찬석 목사(미국 새누리 주님의교회) “미국 이민교회의 다음세대 사역에 대해”, 김호성 목사(국제도시선교회대표) “도시선교 운동의 중요성가 실제와 전략”, 김창훈 선교사(GMS 캄보디아) “쿤리엄 예수 마을 사역(Khunream Jesus Village)” 등의 사역발제를 통해 큰 도전이 됐다.
다음세대 발에서는 최유리 간사(글로벌 청년제자 훈련원) “Why not so serious”, 장주영 교사(네스트 대안교육기관 대표교사) “119는 홍수에 빠진 형석이를 구할 수 없다” 등의 발제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동주 목사(과천약수교회)는 “사랑하는 자가 양을 먹이고 친다”(요 21:15-17) 말씀으로 성찬식을 인도했다. 다함께 단체사진을 촬영하면서 선교포럼을 마쳤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