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죄는 부정한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Share This Article
[교육저널=정이신 목사] 39. 죄는 부정한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
내일에 대한 소망이 오늘을 앞지르면 안 돼…
부활의 소망도 없이 십자가를 질 수 없고, 내일에 대한 꿈을 가지지 않은 채 오늘만 성실하게 살아가기 힘듭니다. <3:6>에 나타난 삶의 자세를 보면, 모든 일에서 하나님을 인정하는 사람은 내일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걸 주님께 맡긴 채 오늘을 성실하게 삽니다.
그런데 내일에 대한 소망이 오늘을 앞지르면 안 됩니다. ‘내일 부활이 이뤄지고, 종말이 될 터이니 오늘은 흥청망청 살자’라고 하는 것은 성경의 가르침과 다릅니다. 내일 이런 소망들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그건 어차피 하나님의 영역입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오늘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이게 모든 일에 하나님을 인정하는 삶의 자세입니다.
‘집단지성’이란 용어가 있습니다. 엘리트에 속하지 않는 보통 사람들이 모여 만든 아이디어가 빼어난 몇 사람의 생각보다 더 나은 경우를 말합니다. 구원에 관해서는 집단지성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빼어난 실력이 있는 사람들일지라도 죄에 관해서는 자기가 어떻게 해볼 수 없습니다.
죄를 지은 이가 용서받아야 죄가 해결되는데, 죄를 용서하실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입니다(시편 130:4). 그래서 바보 같아 보이는 하나님의 백성이 죄를 용서받고, 나아가 주님께 무한정으로 지혜와 능력을 받아 더 강하게 됩니다. 이게 성경에서 말한 구원에 관한 집단지성입니다. 엘리트든 보통 사람이든 우리가 모두 죄인이기에 죄에 관해서는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서 해결할 방법이 아예 없습니다. 그래서 구원에 관해서는 절대 스스로 지혜롭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죄에 관해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잘 저지르는 일 중 하나가 죄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죄인이기에 죄를 용서받아야 하는데, 죄의 용서를 말하려고 하니 죗값에 대한 청산 문제가 불거집니다. 그런데 이것은 도저히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죄를 부정합니다.
죄라는 게 인간의 마음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실체로 존재하는 게 아니니, 모든 게 인간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사고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것과 같습니다. 죄를 부정한다고 해서 죄가 없어진다면 저들의 행동이 맞을 것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지닌 죄는 부정한다고 없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죄를 부정하게 되면 인간은 의인이 됩니다. 더는 죄인이 아니니 의인일 수밖에 없습니다. 죄를 부정했을 경우 죄인과 의인 사이에 다른 존재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의인이라면 성경에서 말한 종말이 굳이 필요 없습니다. 의인에게 심판이 왜 필요합니까? 죄인이기에 죄를 없애고 회복의 날을 펼치는 종말이 필요한 것이지, 의인이라면 회복이 일어나는 종말이 필요 없습니다.
<요한계시록>은 인류 역사가 종말을 향해 치닫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오늘도 인류 역사는 저 보이지 않는 밑바닥에서부터 도도히 종말을 향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종말로 향해 가고 있는 이 역사는 죄인들을 심판하고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니 의인들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죄인이 아니라면 종말을 향해 진행되고 있는 이 역사를 무시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죄인이라면 이 종말의 역사를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내가 어떻게 해볼 수 없는 그 역사 앞에서 겸허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가 십자가의 대속(代贖)’이란 말을 자주 쓰는데, 이는 기독교의 교리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말이고 원래 우리말에는 이런 표현이 없었습니다. 대속은 신약성경을 기록한 코이네(Koinē) 헬라어로 ‘값을 치르고 물건을 샀다’란 말입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대속을 받았다는 말은 ‘누군가 우리의 죗값을 대신 치렀다’란 말입니다.
이는 아주 구체적인 표현으로 성경에서 말한 죄는 관념적인 차원에서 그냥 이해할 수 있는 ‘내가 잘못했구나!’와 같은 반성뿐만 아니라, 반드시 그 값을 치러야만 빠져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에서 말한 구원의 문제에 대해서는 집단지성이 더 빛을 발합니다.
또 죄의 문제를 아는 사람은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지 않고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체험하는 일에 더 집중합니다. 죄의 문제는 대속, 죗값을 치러야 거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는 조건부 항목이 따라다니기에 절대 자신의 방법이나 계획을 하나님보다 더 믿지 않습니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