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sidebar Skip to footer

Author page: An Jun Bae

윤동주의 부끄러운 자화상, 참회록

[문화저널=안준배 박사] 윤동주의 부끄러운 자화상, 참회록  »  윤동주 시 평론 시리즈 <5회> » 윤동주의 <자화상>은 나의 부끄러운 자화상이기도 하다...  윤동주는 1942년 1월 30일경에 쓴 시 <참회록>에서 '거울'이라는 시적 소재를 통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한다. 인간의 마음속에는 저마다 의 거울이 하나씩 숨겨져 있다. 시인은 양심, 자아, 내면이라는 거울로 자신을 닦아 보자는 것이다. 윤동주는…

Read more

윤동주가 꿈꾸는 이상 세계

[문화저널=안준배 박사] 윤동주가 꿈꾸는 이상 세계  »  윤동주 시 평론 시리즈 <4회> » 도래할 빛의 세계를 기다리는 것은 윤동주 시의 기본구조...  윤동주에게 있어서 시인이라는 '천명'은 시인은 하늘의 명령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자라는 뜻이다. 시인은 하늘의 목소리에 따라 시를 써야 하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곧 하늘의 목소리에 따른 시가 아닌 한 줄의 시를 적고…

Read more

여리고 순수한 맑은 심상을 가진 윤동주

[문화저널=안준배 박사] 여리고 순수한 맑은 심상을 가진 윤동주  »  윤동주 시 평론 시리즈 <3회> »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 그 시절 회고 "섬세하고 여성적인 정서 가져"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는 그 시절을 회고하면서 "축구 선수였던 형은 어머니의 손을 빌리지 않고 유니폼에 이름도 혼자 만들어 붙이고 기성 복도 손수 재봉틀로 적당히 고쳐 입었습니다."라고 말했다.…

Read more

기독교적인 체험이 삶의 영성으로

[문화저널=안준배 박사] 기독교적인 체험이 삶의 영성으로  »  윤동주 시 평론 시리즈 <2회> » 희생양을 통한 어둠에서 밝음에로의 존재 초월은 윤동주 시의 중요한 모티브    윤동주의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정음사 초판이 1948년 1월에 상재되었다. 그의 시는 기독교 정신을 담아내고 있으며, 기독교적인 체험이 일상으로 젖어든 삶의 영상을 형상화하였다. 암울한 시대에 맞서는…

Read more

순수와 저항의 민족시인 윤동주

[문학평론=안준배 박사] 순수와 저항의 민족시인 윤동주 »  윤동주의 삶, 스물일곱   순수와 저항의 시인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명동중학교의 교원인 윤영석과 민족운동가이며 교육자였던 김약연 목사의 누이동생인 김용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윤동주는 태어나자마자 유아세례를 받았다. 아명은 해환, 아동 잡지<어린이>를 밤새워 읽으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다... 윤동주 ◙ Photo&Img©ucdigiN 1925년에 윤동주는 민주국 간도성 화룡현에…

Read more

Sign Up to Our Newsletter

Be the first to know the latest updates

[yikes-mailchimp form="1"]

This Pop-up Is Included in the Theme

Best Choice for Creatives
Purchase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