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sidebar Skip to footer

동방기독교

동방기독교

당대 景敎와 타 종교와의 관계  <1회>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대 景敎와 타 종교와의 관계  <1회>  » the Relationship between Jing-Jiao and other Religions during the Tang Dynasty 7~11세기 실크로드 상의 다문화의 발전은 당왕조의 번성과 관용적 종교정책 덕분이었다. 당조가 가장 번성했을 때 관할 직할하의 변경지역은 “동쪽으로는 안동(安東), 서쪽으로는 안서(安西)까지이며, 남쪽으로는 안남(安南)과, 북쪽으로는 單于府까지, 즉 남북쪽으로는 漢나라와 비슷하고, 동쪽으로는 막혔지만, 서쪽으로는 영토…

Read more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5회>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5회>  » 7. 당 말기 景敎의 실크로드 선교사역(Silk Road ministry of Jing-Jiao in the latter half of Tang Dynasty) 오랜 시간 동안에 正史 기록물이 부족했기 때문인지, 대체로 많은 학자들이 무종이 실시한 “회창멸불” 이후에 景敎徒가 중국에서 사라졌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물론 “회창멸불” 때문에 景敎가 큰 충격을 받았고, 심지어…

Read more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4회>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4회>  » 5. 景敎의 토착화 시도(The Attempt to Individualize Jing-Jiao) 景敎에 관하여는 당대 역사서인 신·구당서(新·舊唐書)와 당회요(唐會要), 원대 사료인 원사(元史)와 원전장(元典章)을 통해 “法流十道 寺满百城”. 즉, 전국 백여 곳에 20만 이상의 성도가 넘었다고 생생하게 입증하고 있다. 당대에는 유·불·도교가 주류였다. 景敎는 중국에 유입된 이후 적응과 생존을 위해 적극적으로 순응했고,…

Read more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3회>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3회>  » 3. 景敎의 선교정책 (Jing-Jiao Ministry Policy) 6) 景敎의 음악(The Jing-Jiao Music) a. 景敎삼위몽도찬(景敎三威蒙度贊) 현존한 당나라의 景敎음악과 관련된 기록은 얼마 되지 않으며, 어느 누구도 그 당시에 성행했던 활동장면들을 재현할 수는 없다. 1908년, 감숙성 돈황 막고굴에서 발견한 景敎 삼위몽도찬(三威蒙度贊)은 景敎가 중국에서 전해져 내려온 많지 않은 문헌…

Read more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 <2회>  » ◙ Photo&Img©ucdigiN 3. 당의 종교정책하의 景敎 (Jing-Jiao Under Tang’s Religious Policy) 당대 이전부터 종교정책은 별다른 변화 없이 기존의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 나, 후일 황제의 신앙과 정치적 필요에 의해 당시의 국교로 정해지는 상황도 연출되었다. 당의 건국과 더불어 유가의 전통사상이 국가의 기본정책하에서 유지되었고, 이어서,…

Read more

당대 전후 景敎의 선교 활약상

[역사저널=김규동 박사] 당대 전후 景敎의 선교 활약상 - <1회>  » ◙ Photo&Img©ucdigiN 1. 당의 정치와 景敎 (Politics and Jing-Jiao in Tang Dynasty) 일찍이 페르시아는 중국과 유럽과의 교류에 산파 역할을 하였다. 두 나라는 현실적으로도 당조와 페르시아 간의 이해관계가 성립되어 정치적으로도 친선관계를 맺었다. 때마침 이슬람 세력의 굴기와 침략으로 수많은 페르시아인이 당으로 피난해 왔다. 당연히…

Read more

선의경교(善醫景敎)

[화제BOOK] 선의경교(善醫景敎) » 대진경교의 의료선교 고찰 » 출판사: 리빙터치 2022 »  동방기독교 선교사, 첫 출발부터 예수님의 사역을 그대로 따라 행했다   예나 지금이나 의료사역은 질병에 취약한 지역이거나, 국가적인 질병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지역에 가서 직간접으로 치료를 돕는 예방책을 통한 조치와 행위를 말한다. 사실 오늘날의 뛰어난 의료시스템은 과거의 전쟁과 질병으로 인한 참혹한 현장에서 꽃피운 결정체이기도 하다.…

Read more

대진경교의 의료선교 고찰

[화제BOOK] 대진경교의 의료선교 고찰 » 선의경교(善醫景敎) » 출판사: 리빙터치 2022 »  동방기독교 선교사, 예수님의 사역을 그대로 따라 행했다 예나 지금이나 의료사역은 질병에 취약한 지역이거나, 국가적인 질병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지역에 가서 직간접으로 치료를 돕는 예방책을 통한 조치와 행위를 말한다. 사실 오늘날의 뛰어난 의료시스템은 과거의 전쟁과 질병으로 인한 참혹한 현장에서 꽃피운 결정체이기도 하다. 당시…

Read more

당 역대 왕실(619~907)에 나타난 景敎 연구-2

景敎가 당나라에 들어온 지 146년 만에 최고 번영기 구가 景敎 주교 景淨에 의해 한자 총 219개로 구성되었으며, 하단부와 측면에 고대 시리아어가 새겨진 점이 특이하다. 주로 景敎의 교리와 인간의 타락, 메시아 구원의 역사, 삼위일체, 생활법전 등에 대한 내용, 그리고 景敎徒들의 이름까지 새겨져 있어 당대 동방기독교의 전성기를 기록한 결정적인 유물인 경교비가 세워졌다. [김규동 박사…

Read more

당 역대 왕실(619~907)에 나타난 景敎 연구

로마(大秦) 선교사 알로펜, 장안(現서안)도착 景敎 전해 당태종은 즉위 후 치세(治世) 4년(貞觀 630) 우선 먼저 돌궐(突厥)을 평정시키고, 주변 세 종족에도 힘을 행사해 조공을 바치도록 함으로 국위를 떨쳤다. 게다가 내부적인 치리에도 힘을 씀으로 태평성세(太平盛世)를 이루었다. 치세(治世) 9년(貞觀 635)에는, 시리아인이며 로마(大秦)의 선교사인 알로펜이 21명의 일행과 실크로드를 통해 장안(現 서안)으로 건너와 景敎를 전했다... [김규동 박사 동전사 연구]…

Read more

Sign Up to Our Newsletter

Be the first to know the latest updates

[yikes-mailchimp form="1"]

This Pop-up Is Included in the Theme

Best Choice for Creatives
Purchase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