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sidebar Skip to footer

Tag: 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3 » 강석진 목사 »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테프트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2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2» 강석진 목사 » 고종의 밀사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헐버트선교사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는 미국 명문가에서 태어나 명문대학인 다트머스(Dartmouth)를 졸업하고 선교사로 헌신하기 위해 유니언(Union)신학 대학에 재학중인 1886년 여름에 고종이 미국 정부에 조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국립 ‘육영공원’(育英公院)에 교사들을 초청할 때에 자원하여 조선에 입경하였다. 그는 공식적으로 고종의 초청을 받은 최초의…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1

[역사저널]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11 » 강석진 목사 »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태동이 된 ‘필라델피아 대한인총대표회’ 1905년 미국과 일본간의 ‘가쓰라테프트 밀약’은 사실상 미국과 대한제국과의 외교 단절을 가져왔다. 그로인해 서울의 미공사관을 비롯한 유럽의 다른 나라들도 공사관을 철수시킴으로 이들 나라들과의 공식적 외교 관계도 모두 정리되었다. 이어진 1910년 한일합방으로 대한제국은 국가로서 멸절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에…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9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9 » 운산 광산 개발 계약 1896년 4월 16일 체결, 미국과 통상 및 근대화 사업 교류... 조선과 미국과의 통상 및 근대화 사업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상업적 교류는 금 광산의 채굴권이었다. 조선에서는 예로부터 평안도 운산군에 소재하고 있는 운산 광산이 금과 은의 매장량이 풍부했고 그 순도가 매우 높은…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8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8 » 고종, 1887년 6월 29일 박정양(朴定陽)을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임명... 1882년5월 22일에 해양 국가이며 기독교권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이 맺어짐으로 그 다음 해에 한성에 최초의 서양국가의 공사관이 설립되어 미국의 성조기가 게양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무엇보다도 문화 교류보다는 조선과의 상업적 교역을 기대하였으나 일본과는 달리 별무 상태였다. 그당시 조선은 그만큼 일본과는 상대적으로…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7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7 » 고종, 1887년 6월 29일 박정양(朴定陽)을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임명... 알렌과 박정양은 천신만고 끝에 결국 두 달이 지체된 후 1887년 12월 10일에 요코하마항에서 미국으로 향하였다. 이들 일행은 12월 28일에 샌프란시스코항에 도착하여 열차 편으로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를 타고 1888년 1월 9일에 워싱톤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고종은 알렌에게 청의…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6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6 » 고종, 1887년 6월 29일 박정양(朴定陽)을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임명... 고종은 미국과 1882년 5월에 수교를 맺은 후에는 오랫동안 종속 관계를 이어왔던 청나라로부터 벗어나려했고 일본과는 1876는 강화도 수호통상 이후 조선을 향한 침탈적 압박이 가해 오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국에 공사관 설치를 과감하게 추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외교적 절차에 대해…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5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5 » 알렌 선교사의 큰 한국교회사 기여, '민영익을 외과 수술로 살려냄'... 알렌의 이같은 조선의 근대문명화와 외교에 미친 영향은 조선이 그 당시에 필요로 한 시대적 요청에 충실함으로 그 결실을 조선인들은 누리게 되었다. 알렌 선교사의 빼어 놓을 수 없는 한국교회사의 기여는 그가 갑신정변 시기에 고종과 민비에 오른팔 역할을 해온…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4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4 »  조선 근대문명화, 미국정부 차원 아닌 미국교회 통해 예비하심 ... 하나님께서는 조선을 향한 근대문명화는 미국의 정부 차원이 아닌 미국 교회를 통해 행하실 것을 준비시키셨다. 그 근거로서 조선의 방미 외교 사절단이 1883년 9월에 미국 센프란시스코에 당도하여 그곳에서 미대륙을 횡단하는 열차를 타고 뉴욕을 향해 여러 날을 가는 중에 같은…

Read more

한미수교 140년의 근대문명 역사 –13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3

[역사저널=강석진 목사] 한미수교 140년사의 근대문명 리뷰-3 » 조선과 미국과의 1882년 5월, 국교 관계가 시작된 그 즈음 ... 조선과 미국과의 수교가 성립된 배후에는 지금처럼 한반도를 둘러싼 매우 복잡한 이해 관계가 당사국 간에 얽혀있었다. 먼저 조선은 새로운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청과의 오랜 종속(사대) 관계를 미국과의 관계처럼 자주적 평등 관계로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청이 취해온…

Read more

Sign Up to Our Newsletter

Be the first to know the latest updates

[yikes-mailchimp form="1"]

This Pop-up Is Included in the Theme

Best Choice for Creatives
Purchase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