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가 분별력을 얻으려면
Share This Article
[목양저널=이재훈 목사] 지도자가 분별력을 얻으려면 »
지도자가 분별력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가장 먼저 ‘상황 분석’에 매달린다. 사람들의 말과 평가에 귀기울이고 주목한다. 필요한 조치들이다. 그런데 딜레마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분별력은 상황이나 여론을 살피는 데서 얻을 수 없다.
끊임없이 위기에 직면하는 지도자가 분별력은… 역사 흐름에 책임을 져야 하는 지도자는 많은 딜레마를 해결해야 한다. 딜레마는 분별력을 요구한다. 분별력은 문제 핵심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이다. 실타래와 같이 얽힌 상황을 풀어내는 기술이다. 이는 지도가 없는 곳에서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며,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공식을 새로 만들어 도무지 풀 수 없는 수학 문제를 푸는 것과 비슷하다.
분별력은 지도자 자신의 ‘내면 분석’에서 나온다. 특히 감정을 면밀히 들여다보는 것에서부터 얻어진다. 우선 자신이 처한 딜레마가 본인 감정으로부터 나온 것은 아닌지 살펴야 한다. 즉 상황에 대처하는 자신의 말과 결정이 그릇된 감정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었는지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감정이란 누군가를 향한 미움이나 두려움일 수 있다. 만일 그것이 아니라면 딜레마 자체에 대한 자신의 감정적인 반응은 어떤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 두려워하고 있는 가, 아니면 두려움을 넘어서 진정한 용기를 가지고 대하고 있는가?
프랑스의 철학자 파스칼(Blaise Pascal)은 《팡세》에서 “모든 사유는 감정에 항복한다”라고 말했다. 상한 감정은 모든 합리적 판단을 무너뜨리는 무서운 힘이 있다. 지도자로서 딜레마에 직면해 본 사람이라면, 그리고 감정에 항복한 사유에 기초해 올바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뼈아픈 경험이 있는 지도자라면 매우 깊은 가시처럼 찌르는 말이 될 것이다. 아무리 합리적인 사유를 하는 사람일지라도 자신의 감정에 사로잡혀 합리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페인의 종교개혁가이자 예수회 창시자인 이냐시오 로욜라(ignacio de Loyola)는 분별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장 먼저 분별해야 하는 것은 상황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임을 강조했다. 내면의 감정을 먼저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올바른 분별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탁월한 분별력을 얻는 지혜를 솔로몬에게서 배워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왕이 된 솔로몬에게 찾아오셨다. 그러나 “네가 왕이 되었으니 내가 너에게 가장 필요해 보이는 분별의 지혜를 주겠다”고 하지 않으셨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줄까?”라고 질문하셨다. 이것은 정말 중요한 의미가 담겼다. 하나님께서는 지도자 스스로 자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신 것이다.
만약 하나님께서 나에게 “내가 너에게 무엇을 줄까?” 하고 질문하신다면 무엇을 구할지 준비되어 있는가? 자신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 생활 속에서 깨닫지 못한 사람은 아무리 하나님께서 은혜를 주신다고 해도 구하지 못할 것이다. 솔로몬은 가장 필요한 분별의 지혜를 달라고 구했다.
앞으로 왕인 자신에게 다가올 수많은 딜레마 앞에서 판단을 내릴 때 가장 필요한 것이 분별의 지혜임을 알고 있었다. 그의 간구는 분별력을 얻기 위한 우리 마음의 태도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잘 보여 준다. 바로 겸손이나, 솔로몬은 자기가 왕이 된 것이 하나님께서 과거에 아버지 다윗에게 베푸신 큰 은혜 때문이라는 것을 고백한다. 또한 자신이 왕으로서의 판단력을 아직 갖추지 못한 사람임을 정직하게 인정한다(왕상 3:6-9).
그는 겸손했다. 겸손이란 진리 안에서 자신을 정직하게 살피는 것이다. 만일 지도자가 자신을 향한 감상적, 이상적인 생각만을 가지고 있다면 분별하는 데 실패할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도움이 필요한 연약한 존재임을 인정해야 한다. 아무리 옳아 보여도 내 생각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시인해야 한다. 그것이 겸손이다.
때로는 나를 대적하는 이들에게서도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용납해야 한다. 꼭 내 머릿속에서 나온 생각이나 의견이 아니어도 모두가 살 수 있는 해답이 거기에 있다면 용기 있게 받아들여야 한다. 분별력이 겸손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은 매우 막연해 보일 수 있지만 가장 실제적인 진리이다. 겸손은 감정을 정화하며 합리적 판단을 향해 걸어가게 한다. 위기에 처한 나라와 민족의 딜레마를 해결하는 분별력이 이 시대 지도자들에게 임하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 Now&Here©유크digitalNEWS
출처: 선한 그리스도인을 찾습니다/ 이재훈/ 두란노서원/ 2019, 138-1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