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고전을 읽어할 이유
Share This Article
인문 고전을 읽어할 이유
송용구 교수의 책 『10대를 위한 인문학 강의』는 열 두 편의 주제를 통해 ‘인간 다운 인간의 길’을 안내하고 있다. 성숙한 인성을 갖추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문 고전을 읽는 일이다. 그것이 인문 고전을 읽어야 할 이유이다.
[북스저널=송광택 목사] 인문 고전을 읽어할 이유 » 10대를 위한 인문학 강의 | 송용구 | 글라이더 | 2020 간행
고전은 사실 가볍거나 쉬운 책이 아니다. 왜냐하면 고전은 그 가치와 수준이 다른 책이기 때문이다. 프란츠 카프카는 말하기를 “현대 서적의 대다수는 현대의 반짝이는 영상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것은 금방 사라져 간다. 당신은 좀 더 오래된 책을 읽어야 한다” 고 했다.
『교양』의 저자 디트리히 슈바니츠(Dietrich Schwanitz)에 의하면, 교양이란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을 가리킨다. 교양으로써의 독서를 이야기하자면 인문고전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인문 고전을 가까이하려고 노력하는 일은 특히 10대 청소년들에게 더욱 중요하다.
송용구 교수의 『10대를 위한 인문학 강의』는 열두 편의 책을 통해 ‘인간다운 인간의 길’을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장점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청소년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위대한 작가와 사상가들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에 소개된 인문고전은 인류의 정신적 영적 유산이다. 그 작품들은 세월의 엄중한 검증을 거쳤기 때문에 ‘고전’이라는 명예의 전당에 그 이름이 올라갔다. 저자에 따르면 “인문학의 본질과 인간다운 삶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이 책은 10대 시절에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책”을 담고 있다.
예를 들면, 청소년 문학의 모범 『수레바퀴 아래서』, 사랑의 교과서로 손색없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감동적 휴머니즘의 대작 『레 미제라블』, 근대 희곡의 등불을 밝힌 『맥베스』, 르네상스 문학의 걸작 『데카메론』, 민주주의 시대를 열어준 정치철학의 큰 별 『사회계약론』, 개인의 성장과 성숙에 필요한 사회의 역할을 일깨워주는 교육철학의 대표작 『민주주의와 교육』 등이다.
둘째로, 저자는 위대한 작가들이 전하는 메시지와 주제를 알기 쉽게 해설하고 있다. 고전은 쉽지 않은 책이다. ‘고전’이라는 말만 들어도 많은 사람이 부담을 느낀다. 필자도 고전에 관한 강의를 하면서, “고전은 우리로 고전(苦戰)케 한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이 책은 이러한 고전 작품을 명쾌하게 요약하고 친절하게 해설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가 이 책을 숙독(熟讀)한다면 인간의 감정과 생각에 공감할 힘을 갖게 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전개되는 인간의 복잡미묘한 행동을 섬세하게 이해할 수 있는 ‘생각의 깊이’를 기르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 책은 인문고전의 핵심내용을 잘 설명하고 깊이 이해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셋째로, 이 책은 인문고전 읽기에 있어서 ‘분석능력’을 키워준다. 독자는 책에서 다루는 주제를 탐구하는 가운데 분석능력을 갖게 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통찰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읽기는 인문고전이 제시하는 가치를 ‘내면화’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넷째로, 이 책은 인문고전을 명쾌하게 설명한 후 ‘후마니타스로 바로 본 세상과의 질문’을 통해 책 내용을 자신과 사회에 적용하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이러한 질문들을 볼 수 있다.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다룬 후에는 “여러분이 한스와 같은 학교에 다녔다면 어떻게 생활했을까요?” “꿈을 이뤄서 사회에 기여할 길이 있다면 무엇일까요?”라고 묻는다.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해설한 후에는 “여러분이 미하일처럼 길에 버려진 위급한 상황에 놓인 사람을 본다면 어떻게 행동할까요?” “인간의 마음을 보석상자라고 한다면 그 상자에 든 보석 중 가장 빛나는 보석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라고 질문한다.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에서 ‘프랑스 민중의 이야기’를 소개한 후에는. “여러분에게 ‘불쌍한 사람’으로 느껴지는 이들은 누구인가요?” “그들이 불쌍하게 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불쌍한 사람이 많지 않은 사회가 되려면 어떤 노력과 방법이 필요할까요?”라고 성찰을 위한 질문을 던진다. 저자는 이러한 질문을 통해 머리로만 아는 단계에서 손발의 실천과 구체적 행동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한다.
저자는 “인간다운 인간으로 살아가려면 성숙한 인성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성숙한 인성은 하루아침에 닦여지는 것이 아니다. “지속적 노력이 없다면 도달하기 어려운 것이 성숙한 인성입니다. 지식을 부지런히 습득하고 그 지식을 삶에서 실천하지 않는다면 성숙한 인성을 지닐 수 없습니다.”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 송용구 교수는 “우리 삶을 좀 더 인간답게 발전시키는 실천의 힘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하면서 『10대를 위한 인문학 강의』를 썼다. 필자는 저자의 집필 목적에 동의하면서 이 책을 ‘인간다운 인간’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는 ‘인문독서 내비게이션’으로 강력히 추천한다. ◙ Now&Here©유크digitalNEWS
글 Bookleader 송광택 목사/ 본지 칼럼니스트/ 시인, 출판 평론가/ songrex@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