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
![](https://ucdigin.net/wp-content/plugins/trx_addons/components/lazy-load/images/placeholder.png)
Share This Article
여행자
《안네의 일기》보다 먼저 집필된, 유대인 박해의 증언-집필 후 80년이 지나 비로소 모국어로 출판된 고발문학《여행자》를 통해 마치 거울을 보는 듯 오늘의 차별을 돌아보게 된다. 가장 폭력적인 시기 독일의 풍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누군가는 반드시 잘못된 시기에 잘못된 장소에 놓인다. <슈피겔>
[추천도서] 여행자 | 울리히 알렉산더 보슈비츠 | 김영사
![](https://ucdigin.net/wp-content/uploads/2021/03/voyager_300.jpg)
소설이 역사적 증언이 될 수 있을까? 소설은 허구성에 바탕해 쓰이지만, 훌륭한 작품은 그 어떤 사료보다도 당대 현장을 생생히 전한다. 나치에 쫓기며 집필 활동을 한 유대인 작가 울리히 알렉산더 보슈비츠의 장편소설 《여행자》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 소설은 체계적 유대인 박해의 시발점인 ‘수정의 밤(Kristallnacht)’을 배경으로 한다. 유대인 박해가 합법이 되어버린 독일을 벗어나려고 전 재산을 여행 가방에 담은 채 전국을 떠도는 주인공의 모습이, 나치를 피해 유럽을 떠돌다 끝내 죽임을 당한 작가의 실제 모습과 맞물려 독자에게 강력한 실감을 안긴다.
작품이 너무 생생한 탓일까? 《여행자》는 독일국립도서관 문서실에 잠들어 있다가 2018년에야 독일어로 출간되었고, 《안네의 일기》(1942~1944)보다 앞서 집필된 유대인 당사자가 쓴 최초의 소설인 만큼 기념비적인 고발문학으로 주목받았다.
《안네의 일기》보다 먼저 집필된, 유대인 박해의 증언 “세상은 잊었다. 우리가 시민이던 시절을.”
1938년, 나치 돌격대와 지지자들이 유대인 상점을 깨부수고 약탈한 ‘수정의 밤’ 사건이 벌어진다. 더 놀라운 것은 단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재산을 뺏고 체포하는 것이 합법이라는 사실이다. 성공한 유대인 사업가인 오토 질버만은 하루아침에 도망자로 전락한다. 위험이 목전에 닥칠 때까지도 질버만은 이렇듯 야만적인 일이 20세기 유럽에서 벌어진다는 걸 선뜻 믿지 못한다. 그러다 나치 지지자들이 자신의 집에까지 찾아오자 급히 재산을 처분해 도주에 나선다. 그가 믿을 것은 유대인 특징이 거의 보이지 않는 얼굴과 여행 가방에 든 거액의 현금. 출국의 기회를 잡을 때까지 어디로도 갈 수 없는 질버만은 기차를 타면 안전할 거라는 생각에 질버만은 끝없이 티켓을 끊어독일을 배회한다. 기차에서 그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만난다. 독일군 장교, 열성 나치 지지자, 침묵하는 시민, 도주로를 찾으려는 유대인 수공업자, 혼란을 틈타 사업 기반을 마련하려는 기회주의자……. 결국 질버만은 사업 파트너였던 아리아인에게 배신을 당하고, 독일에 갇힌 채 서서히 미쳐간다.
사회에서 배제된 인물의 눈으로 당대 풍경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이 작품은 가치 있지만, 《여행자》의 주제의식은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저자 보슈비치는 오토 질버만을 전형적인 약자나 희생자로 그리지 않는다. 아니, 질버만이야말로 작중의 가장 입체적인 인물이다. 그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나치의 탄압을 받지만, 박해가 시작되기 전에는 자본가로서 기득권에 속했고, 도망치는 중에도 다른 유대인들과 자신이 엄연히 다르다고 여기며 내심 그들을 책망하기도 한다. 이처럼 인간과 사회의 맨얼굴을 응시하는 시선은 《여행자》의 작가 보슈비츠 자신의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보슈비츠의 아버지도 주인공처럼 부유한 사업가였으며, 그가 기독교로 개종한 까닭에 보슈비츠 역시 개신교 환경에서 성장했다. 유대인으로 분류되어 사회적 낙인이 찍히기 전까지만 해도 유대계라는 사실은 그의 가족에게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여행자》 주인공 오토 질버만이 사회를 보는 시각에는 자전적 요소가 짙게 담겨 있으며, 그 덕분에 독자는 사회적 낙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집필 후 80년이 지나 비로소 모국어로 출판된 고발문학 오늘의 차별을 돌아보는 거울이 되다
보슈비츠는 영국으로 망명했지만, 독일 국적자라는 이유로 적국인(敵國人)으로 분류되어 오스트레일리아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영국으로 돌아오는 배에서 독일 잠수함이 쏜 어뢰에 맞아 사망한다. 《여행자》는 보슈비츠 생전에 영국과 미국에서 번역 출간되었으나 정작 저자가 모국어로 직접 쓴 원고는 수십 년간 잠들어 있게 되었다. 전후 독일에서 이 소설을 출간하려는 시도가 없지는 않았다. 소설가 하인리히 뵐이 《여행자》를 출간하고자 편집자에게 추천한 적 있으나, 부담을 느낀 출판사 측에서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여행자》는 집필 후 80년이 지난 2018년에야 보슈비츠의 친척과 연락이 닿은 출판인의 손을 거쳐 독일에서 출간되었다. 이 소설은 독일의 어두운 역사를 유대인의 시각으로 담아낸 최초의 소설로서 문학성과 역사성을 동시에 인정받으며, 자국의 치부를 다룬 작품임에도 독일 언론과 독자의 찬사를 받았다. 2019년에는 보슈비츠를 기리는 걸림돌이 베를린에 설치되기도 했다.
80년이라는 시간을 지나 역사적 사실과 내재된 본질을 생생히 전하는 《여행자》를 과거의 이야기만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는 전쟁을 피해 도망친 난민이 줄을 지어 있으며,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못하고 공항에서 기약 없이 심사를 기다리는 이들도 적지 않다. 이들의 삶 역시 전쟁 전에는 지극히 평범하고 당연했으리라. 또한, 2020년대의 우리는 팬데믹 사태를 맞아 타인을 배제하고 낙인찍는 일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여행자》의 주인공 오토 질버만은 안부를 묻는 지인에게 이렇게 답한다. “생각하는 습관을 버렸어요. 그게 모든 것을 견디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지요.” 집단적인 두려움 앞에 인간은 이방인을 구별해내고픈 충동을 느끼고, 그 충동은 금세 폭력으로 이어진다. 이 책의 옮긴이 전은경은 ‘옮긴이의 말’에서 독자에게 묻는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우리’라는 울타리와 그 너머의 타인을 어떻게 구분 지으며 살고 있을까.’ 질버만이 체포당할까 두려워하며 ‘인정 있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기를 바랐듯, 우리 사회의 약자들 역시 행동하는 양심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본문에서
180마르크. 어느 정도 안심이 되었다. 이 정도면 나라를 뜰 수도 있을 거야. 아직 뜰 수 있다면 말이지. 하지만 설령 그렇다고 해도 그는 떠날 생각이 없었다. 재산을 지키고 싶었다. 이렇게 졸지에 뺏길 순 없어. 암, 안 되지.
다 잘된다면 내일 베커가 8만 마르크를 가지고 올 거야. 그는 희망에 부풀었다. 거기에 더해 집값으로 1만 마르크를 현금으로 받아. 운이 좋으면 손해를 좀 보더라도 저당권을 팔 수 있을 테지. 질버만은 슬그머니 미소를 지었다. 나는 여전히 꽤 부자야. 그는 이런 결론을 냈다. 가난한 반유대주의자들은—가난한 반유대주의자들이 정말 아직도 있다면—온갖 단점에도 불구하고 부유한 유대인이랑 처지를 바꾸려고 할 거야. 이런 상상을 하자 마음이 좀 가벼웠다. 그 사람들에게 이런 질문을 한번 해봐야 해. 하지만 그들이 왜 처지를 바꾸겠어? 돈만 빼앗으면 부유한 반유대주의자가 되는데._50페이지
객실에 도착해 다급하게 문을 잠그고, 생각에 잠기려 침대에 몸을 던졌다. “유대인이 맞더군요.” 싸늘하게 설명하는 종업원 목소리가 들렸다. “유대인이 맞더군요…….” 종업원에게는 물론 충분한 이유가 되었다. 유대인 체포란 손님이 주는 팁처럼 지극히 평범한 일상다반사라고 생각하는 듯했다. 유대인이 체포됐다. 유대인이라서. 다른 이유가 필요한가? 종업원이 볼 때는 그것으로 충분했다.
여기 묵으면 안 되겠다. 질버만은 이렇게 결심하고서 침대에서 벌떡 일어나 넓은 객실을 둘러봤다. 여기서는 절대 자면 안 돼. 어쩌면 한밤중에 나를 침대에서 끌어낼지도 몰라. 그러는 와중에 소음이 약간 발생하면 투숙객들이 깨서 문을 열고 룸메이드에게 무슨 일인지 물을 테고, 그러면 아마 이런 대답을 들을 것이다. “아, 아무 일도 아니에요. 방금 유대인 한 명이 체포됐어요. 그게 다예요.” 그러면 사람들은 이렇게 대답하겠지. “아, 그렇군요……. 그런데 체포하면서 이렇게 요란스러워야 하나요?”_67페이지
“저는 가게에 앉아서 다른 사람들이 깃발을 들고 노래 부르며 지나가는 모습을 지켜봤습니다. 흐느껴 울고 싶을 때도 가끔 있었어요. 정말입니다. 모두 오래전부터 알던 지인이었어요. 전우 모임, 카드놀이 클럽, 동업조합 등이었죠. 저쪽은 모두 예전 친구인데, 당신은 홀로 앉아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당신과 뭔가 함께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당신이 그들 중 한 명을 만나면, 그가 모른 척하는 모습을 안 보려고 당신이 먼저 고개를 돌린다고 말이지요. 저는 어디로도 갈 용기를 내지 못했습니다. 누군가를 만나면 또 속을 끓일 거라고 늘 생각했지요. 저 아이와는 함께 학교에 다녔고, 또 다른 사람과는 직업교육을 받았거나 단골 술집에서 같이 술을 마셨는데, 지금은? 지금은 당신이 형체도 없는 공기가 된 겁니다. 나쁜 공기요!”_170페이지
“그래요. 자, 이제 당원증을 보여주시오!”
뚱뚱한 남자의 마지막 말은 날카로운 명령이었다. 노동자는 마지못해 주머니에서 당원증을 꺼내 상대에게 내밀었다.
뚱뚱한 남자는 당원증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자리에서 일어섰다.
“좋소. 앞으로는 행동 조심하시오! 당신에게도 적용되는 조언이오!”
그는 여자에게도 말한 뒤 서류 가방을 들고 객실을 나갔다.
모두 놀라 잠시 입을 다물었다.
하마터면, 하마터면. 질버만은 생각에 잠겼다. 심장이 쿵쿵 두방망이질했다. 위험이 가장 적다고 믿기만 하면 언제나……._225페이지
“당신, 독일로 돌아가야 합니다.”
“나는 난민이에요. 유대인이라고요. 체포될 위기였습니다. 나를 강제수용소에 가둘 거예요.”
“우린 당신이 여길 통과하게 둘 수 없습니다. 따라와요!”
남자가 질버만의 팔을 잡고 숲으로 데리고 가려 했다.
질버만을 발견한 경찰은 둘이 이야기하게 두고, 질버만의 가방을 집어 들었다.
질버만은 큰길에서 멈춰 섰다.
“가지 않을 겁니다! 여기 남겠어요! 당신들은 이럴 권리가 없어요. 이러면 안 됩니다! 지금 나는 자유국가에 있는 겁니다!”
“당신은 불법으로 국경을 넘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었어요. 쫓기는 상황이었으니까요.”
“모든 사람이 벨기에로 올 수는 없습니다!”_242페이지
기차에 유대인이 너무 많군. 질버만은 생각에 잠겼다. 이러면 우리 모두 위험해질 텐데. 당신들, 도무지 마음에 들지 않아. 당신들이 아니었다면 나는 평화롭게 살수 있었을 거라고. 당신들 때문에 내가 불행 공동체에 빠져버렸잖아! 나는 보통 독일 사람과 다른 점이 전혀 없지만, 당신들은 정말 다를지도 몰라. 나는 당신들과 다르다고. 그래, 당신들이 없었다면 나는 쫓기지도 않을 거야. 평범한 시민으로 살 수 있을 텐데. 당신들 존재 때문에 나는 뿌리 뽑힐 거야. 우리는 서로 아무 상관도 없는데 말이지!_251페이지
저자 소개
울리히 알렉산더 보슈비츠/ 1915년 독일 베를린에서, 유대인 사업가인 아버지와 정치인 집안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얼마 전 전사했고, 화가이던 어머니가 사업을 이어받아 이끌었다. 1935년 나치당이 유대인의 재산을 몰수하는 뉘른베르크 법을 제정하자 독일에서의 삶을 뒤로한 채 가족과 함께 국경을 넘는다. 스웨덴으로 이주했다가 노르웨이로, 이듬해에는 프랑스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틈틈이 첫 소설 《삶의 옆에 있는 사람들(Menschen neben dem Leben)》을 집필했다. 이 작품은 스웨덴어로 번역되어 ‘욘 그라네’라는 필명으로 스웨덴에서 출간되었다. 소설의 성공에 힘입어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 입학해 두 학기를 다녔다. 이후로도 보슈비츠는 수도 없이 경찰에 체포되고 추방되고 벨기에와 영국 등지로 거처를 옮겨야 했지만, 계속되는 망명 생활 중에도 집필을 이어갔다. 1938년 11월 독일에서 대규모의 유대인 박해 사건인 일명 ‘수정의 밤’이 벌어졌고, 이 소식을 들은 그는 사 주 만에 이 사건을 소재로 한 두 번째 소설 《여행자》를 써냈다.
《여행자》 역시 필명으로 1939년 영국에서, 1940년 미국에서 출간되었지만, 보슈비츠는 작가로서 영광을 누리지 못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에 있던 그는 독일 국적자라는 이유로 적국인으로 분류되어 맨 섬의 수용소에 격리당했다. 1940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포로수용소로 옮겨졌다. 이때도 그는 ‘죽는 것보다 원고를 잃는 게 더 두렵다’고 말할 정도로 원고에 매달렸는데, 이미 출간된 《여행자》를 철저히 손 본 것도 이때의 일이다. 그는 개정판 원고 일부를 동료 수감자 편으로 어머니에게 보냈고, 1942년 영국 귀환이 결정되자 마지막 원고를 지닌 채 배에 올랐다. 출발 전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 그는 이렇게 썼다. “저는 이 책에 분명 성공할 만한 힘이 있다고 믿어요.” 하지만 이 배가 독일 잠수함이 쏜 어뢰에 맞아 침몰하면서 보슈비츠는 원고와 함께 죽음을 맞았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스물일곱 살이었다.
보슈비츠가 고쳐 쓴 원고는 사라졌지만, 1938년에 집필된 《여행자》 독일어 초고는 남아 있었다. 전쟁 직후 독일 지식인들이 이 책을 출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고, 소설가 하인리히 뵐이 발 벗고 나섰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부담을 느낀 출판사들이 출간을 거절하여 《여행자》는 독일국립도서관 문서실에 잠들어 있게 되었다. 그렇게 수십 년이 흘렀고 마침내 2018년, 보슈비츠의 친척과 연락이 닿은 독일 편집자의 손을 거쳐 독일어로 쓰인 《여행자》가 출간되었다. 원고가 모국어로 출판되기까지 꼭 80년이 걸린 셈이다. 《여행자》는 독일 역사의 어두운 면을 당대에 묘사한 최초의 소설로, 자국의 치부를 다룬 작품임에도 언론과 독자의 찬사를 받으며 문학성과 역사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2019년, 보슈비츠를 기리는 걸림돌(나치 희생자를 기억하는 설치물)이 베를린의 슈마르겐도르프에 설치되었다.
옮긴이_전은경/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고대 역사 및 고전 문헌학을 전공했다. 독일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한다. 《리스본행 야간열차》 《꿈꾸는 책들의 미로》 《물의 감옥》 외 많은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 Now&Here©ucdigiN(유크digitalNEWS)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