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sidebar Skip to footer

인문&교양저널

인문&교양저널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6. 불도저를 막는 법

성령님이 지혜를 주셔서  알게 하는 것 “명철의 말씀”. ..  <1:3>은 <1:2>에 나온 “명철의 말씀”을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지혜롭게 실행한다고 하는 건 어떤 일을 할 때 그 일의 성격을 잘 알고 처리하는 것입니다. 지혜롭게 행동하는 것의 반대가 맹목적으로 일하는 것입니다. 맹목적으로 자신들이 옳다고 주장하며, 성경에 근거가 전혀 없는 신념을 복음이라고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사람들이 사이비ㆍ이단입니다. …

Read more

우리의 소원은 전쟁

술과 이념은 처음에는 사람을 취하게 하지만 오래가지는 못한다... 술과 이념은 처음에는 사람을 취하게 하지만 오래가지는 못한다. 베를린장벽이 무너질 때 서독의 전문가들은 동독의 엘리트층과 슈타지 같은 정보기관이 강하게 저항하지 않을까 우려했다. 그런데 그런 일은 없었다. 그들은 너무 무기력하게 무너졌다. 소련이 무너질 때 미국의 전문가들은 붉은 군대의 강경파가 미국을 향해 핵 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런데…

Read more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5.잠언ㆍ전도서와 시편

우리가 <잠언ㆍ전도서>와 더불어 <시편>을 읽어야 하는 이유. .. 히브리어로 “지혜(호크마)”는 ‘기술’이란 뜻(1:2) 또한 철학적 지혜뿐만 아니라 공학적 기술로 물건을 만드는 걸 포함해... 성경에서 이 단어는 인간 경험의 전 영역을 망라하고 있으면서, 대제사장의 옷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이나(출애굽기 28:3), 금속 기술을 뜻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출애굽기 31:3∼6) [정이신 칼럼] 5.잠언ㆍ전도서와 시편 »…

Read more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4.바르면서 빠른 길과 앞질렀지만 늦은 길

하나님을 경외하는 게 모든 것의 근본... <잠언> 기자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일이 주는 유익을 먼저 알려주고(2∼6절), 결론으로 하나님을 경외하는 게 모든 것의 근본이라고 <잠언> 서두를 미괄식으로 구성했습니다(1:7). [교육저널=정이신 목사] 4.바르면서 빠른 길과 앞질렀지만 늦은 길 »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회에서 주님의 지혜를 얻으려면 보따리를 싸 들고 주님의 말씀이 선포되는 곳으로 가야…

Read more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3.잠언의 구성

하나님을 믿고 있던 이스라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선포... 성경의 <잠언>에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지혜도 담겨 있습니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옛날에는 하나님이 주신 지혜인지 몰랐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을 믿게 되니 이게 온 우주를 다스리시는 주님이 주신 지혜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교육저널=정이신 목사] 3.잠언의 구성 » <잠언>은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Read more

공간의 미래

저자는 공간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자고 제안... 사람이 모여 살면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 다른 하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이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각종 세금 정책과 행정 정책들이고,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공간 구조를 바꾸는 것이다. 우리나라 계층 간 갈등의 일정 부분은 잘못 디자인된 공간 구조 때문이다. <중략> 공통의…

Read more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2.잠언이 펼치는 세계

바늘이 될지 침이 될지는 "잠언을 받아들이는 사람에 달렸다" <잠언>은 뿌리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포도나무고 제자들은 가지라고 했는데(요한복음 15:5), 나무가 열매 맺기 위해서는 꽃이 필요합니다. 꽃이 피지 않으면 열매가 열리지 않습니다. 이 꽃에 해당하는 게 <잠언>이고 열매가 복음입니다 [교육저널=정이신 목사] 2.잠언이 펼치는 세계 » 우리가 성경공부를 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때,…

Read more

잠언이야기시리즈 표지

1.격언/명언이 아니라 잠언입니다

격언/명언이라고 하지 않고 “잠언”이라고 한 이유 성경의 <잠언(箴言)>은 격언/명언과 속담의 특성을 모두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 둘과 다릅니다. 그래서 이를 “잠언”이라고 번역했습니다(1:1)... “잠언”으로 번역한 히브리어는 속담, 격언, 비유 등으로 쓴 이야기를 뜻하는 ‘마샬’입니다(욥기 17:6, 에스겔서 17:2). 이렇게 번역한 단어를 솔로몬에게 적용할 때는 “잠언”이라고 했습니다. 이는 <잠언>에 수록된 말씀의 특징 때문에 이렇게 번역한 것입니다. “잠언”은…

Read more

목회자를 위한 독서계획 세우기

책은 이 세계의 귀중한 재산이며 모든 세대와 모든 민족들의 고귀한 유산 “책은 이 세계의 귀중한 재산이며 모든 세대와 모든 민족들의 고귀한 유산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한 권의 책을 읽고 자기 인생의 새로운 기원을 마련했던가!” “독서를 잘하는 것, 즉 참다운 책을 참다운 정신으로 읽는 것은 고귀한 ‘운동’이며, 오늘날의 어떤 운동보다도 독자에게 힘이 드는…

Read more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Cui bono(누가 이득을 보는가)? 질문을 던져보라 경제학은 정치적 논쟁이다. 과학이 아니고, 앞으로도 과학이 될 수 없다. 경제학에는 정치적, 도덕적 판단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확립될 수 있는 객관적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제학 논쟁을 대할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오래된 질문을 던져야 한다. “Cui bono(누가 이득을 보는가)?” 로마의 정치인이자 유명한 웅변가였던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말이다. -…

Read more

Sign Up to Our Newsletter

Be the first to know the latest updates

[yikes-mailchimp form="1"]

This Pop-up Is Included in the Theme

Best Choice for Creatives
Purchase Now